[사설]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함평 이전 4년째 제자리, 절충안 찾아야
금호타이어(이하 금타) 광주공장의 전남 함평 빛그린산단 이전이 이전 비용·공장부지 용도변경 등에 부딪혀 4년째 답보상태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이상익 함평군수, 정일택 금호타이어 대표가 지난달 2일 만나 머리를 맞댔으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공장 이전이 무산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50년 가까이 광주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한 금타 이전이 백지화되거나 늦어질 경우 회사의 장기 발전 지장은 물론 광주송정역 역세권 개발 한계, 광주시의 행정력 낭비 및 시민 피로감 가중 등 각종 부작용이 우려된다. 가장 크게 이해관계가 얽힌 금타 측과 광주시가 시민 공론화 등을 거쳐 절충안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남도일보 취재 종합 결과, 금타는 설비 노후화에 따른 공장 가동률 저하 등의 이유로 2019년 1월부터 광주공장의 함평 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전 비용 마련 등에 난항을 겪고 있다. 공장 이전을 위한 필수 절차인 공장부지 용도변경을 놓고 광주시와 평행선을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광주공장 부지의 용도를 개발이익이 큰 상업용지로 바꿔 매각해야 최소 1조2천억 원에 이르는 이전비용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광주시는 위법소지와 금타의 중국 측 경영진이 공장부지 매각 대금만 챙기는 이른바 ‘먹튀’ 우려 등으로 ‘선(先) 용도변경’을 반대하고 있다.
금타와 광주시가 접점을 못 찾으면서 금타가 미래에셋증권 컨소시엄과 2021년 12월 체결한 ‘광주공장 부지 도시계획 변경 및 공장 이전을 위한 사업약정’도 지난 1월 해지됐다. 문제는 현재 금타나 광주시의 ‘통 큰 결단’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조진상 동신대 교수는 남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공장부지 용도변경과 관련, 소위 법적 근거를 갖지 않는 ‘예비사전협상’을 개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