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역사왜곡" vs "연구성과"…전라도천년사 찬반 논쟁 ‘팽팽’

남도일보·남도일보TV 주최 토론회서 쟁점별 주제 놓고 100분간 집중 토론 찬성 측 “지역史 위상 회복·가치 부각” 반대 측 “일본서기 인용…전권 폐기”

2023-07-27     조태훈 기자
전라도 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
남도일보와 남도일보TV는 27일 남도일보 회의실에서 ‘전라도 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지병문 전 전남대 총장과 찬성측·반대측 토론자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광주·전남·전북이 공동으로 추진한 ‘전라도 천년사’ 출판을 앞두고 왜곡·폐기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찬반 주장을 공개적으로 검증해볼 수 있는 ‘전라도천년사 왜곡 논쟁 토론회’가 27일 남도일보 본사에서 열렸다.

남도일보와 남도일보TV 주최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의 좌장은 지병문 전 전남대 총장이 맡았으며 천년사를 발간해야 한다는 찬성 측 패널 3명과 전권 폐기해야 한다는 반대 측 패널 3명이 각각 참석했다. 이들은 100분 토론 형식으로 쟁점별 주제를 놓고 집중 토론을 벌였다.

주요 쟁점은 ▲고조선 유물 및 역사 축소 ▲마한과 백제 문제 ▲임나 등 일본서기 지명 문제 ▲일본서기 자료에 대한 학문적 평가 ▲전라도역사 폄훼 문제 ▲가야와 백제 문제 등이다.

찬성 측 토론자로 나선 조법종 우석대 교수, 박중환 전 국립나주박물관장, 강봉룡 목포대 교수는 전라도 지역사의 위상 회복과 가치를 부각하고 관련 지역의 역사를 국가적 정책으로 연결지은 성과와 내용을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대 측 토론자인 나간채 전남대 명예교수,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정현애 바른역사시민연대 공동대표는 검증되지 않은 일본서기를 그대로 인용하는 등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전라도 천년사 곳곳에서 역사 왜곡이 발견됐고 용어 사용도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천년사는 광주시와 전남도, 전북이 지난 2018년 공동으로 추진한 역사서 편찬 사업이다. 총 24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으며 전체 34권(통사 29권·자료집 4권·총서 1권)으로 구성돼 있다. 당초 고려 현종 9년부터 전라도 정도 천년까지 1천년 역사를 기록하려고 했으나 편찬 범위를 확대해 5천년사를 모두 담았다.

전북도 출연기관인 전북연구원이 주관해 총서(해설서) 1권과 고대∼현대 시기별 통사 29권, 도백 인명사전 등 자료집 4권 등 34권을 펼쳐냈다. 2만쪽에 달하는 방대한 역사서를 펼쳐내 학계와 대중의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지난해 말 서사 일부에 일본이 고대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任那)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인 ‘일본서기’ 기술 내용을 차용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박준일 남도일보 대표이사는 “찬·반 논쟁을 객관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문제해결을 향한 지역사회의 노력이 진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론회를 마련했다”면서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언론의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말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지병문 전 전남대 총장은 “논란이 있을 때 동의와 이견, 즉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인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토론회에서 드러난 ‘다른 점’은 숙고와 내부 논의를 거쳐 양 측의 견해가 반영된 천년사가 발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태훈 기자 thc@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