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차세대 공공자원화시설 "시민 공론화위원회 권고 이행 연장 선"

각계각층 구성된 ‘쓰레기 문제 해결 공론화위원회’ 숙의 과정 충분히 거쳐 생활 폐기물 해결과 지역 발전, 두 마리 토끼 동시에 잡아 생태수도 위상 견고히

2023-10-12     양준호 기자

 

순천시 차세대 공공자원화시설 최적 입지 후보지로 선정된 연향들 일원. /순천시 제공

전남 순천시는 2030년부터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순천시폐기물처리시설입지선정위원회로부터 지난 6월 순천만국가정원 인근 연향들 일원을 ‘차세대 공공자원화시설’ 건립을 위한 최적 후보지로 통보 받아 관련 절차 진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지하에 소각장과 재활용 선별 시설을 두고 지상에는 소각을 통해 발생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할 구상이다.

공연장과 체육시설 등을 갖춰 연향향들 일대를 미래세대를 위한 융복합 산업지구로 변모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공공자원화시설의 입지와 필요성에 대해 일부 주민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서자, 시는 12일 공공자원화시설 추진 배경을 다시 강조했다.

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차세대 공공자원화시설 건립 필요성은 하루 아침에 대두된 것이 아니다.

2018년 7월부터 시민사회, 주민단체, 전문가, 언론인, 의회, 일반시민 등으로 구성된 ‘순천시 쓰레기 문제 해결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한 것”이라고 부각했다.

당시 공론화위원회는 100인 시민 토론회·광장토론회·정책포럼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그해 12월 순천시에 정책 권고안을 제출한 바 있다.

이 권고안에 따르면 주암 자원순환센터는 매립량이 한계치에 도달해 새로운 매립장 조성이 필요하고 매립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소각시설 건립을 꼽았다.

시는 “권고에 따라 지난 민선 7기 당시 매립장과 소각시설이 결합된 클린업환경센터 건립을 추진했으나 안타깝게도 무산됐다”면서 “2021년 법 개정으로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면서 매립장 조성은 계획에서 제외됐지만, 민선 8기 들어 추진하는 차세대 공공자원화시설 또한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하기 위한 연장선 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한 권고를 이행하고, 생활폐기물 문제 해결과 지역발전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 생태수도 순천의 위상을 견고히 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시는 다음달 9일까지 차세대 공공자원화시설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공람에 들어갔으며 오는 26일과 27일 양일에 걸쳐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동부취재본부/양준호 기자 yjh@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