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저수지 사고·수질 오염 대책 강화 시급

2023-10-16     남도일보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전남도내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안전사고 및 수질 오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전체 저수지 가운데 절반 이상이 사고 위험에 노출된데다 27%가량은 농업용수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무소속 윤미향(비례) 의원이 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남의 저수지 1천5곳 중 55.0%인 553곳이 보수 또는 보강 작업이 요구되는 C등급 이하다.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은 수치다. 전남은 안전사고 위험으로 정밀점검이 필수적인 D등급 저수지도 24곳이었다. D등급 역시 전국에서 가장 많다. 단순한 개·보수 사업뿐만 아니라 방재기준을 강화하는 등 재해 대비를 위한 선제적인 농업생산기반시설 관리가 시급하다는 게 윤 의원의 주장이다.

더군다나 5∼6등급 수질의 전남지역 저수지도 전체의 27%인 271곳에 달했다. 5등급은 다량의 오염물질로 인해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상태며, 6등급은 용존산소가 거의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려운 수준을 말한다.

게다가 민주당 소병훈 의원이 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저수지 피해 상세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재해로 인한 제방·여수로(餘水路) 유실 등으로 파손 또는 추가 붕괴 우려 저수지는 총 10곳으로, 모두 시설물 안전에서 양호 판정을 받은 B, C 등급으로 확인됐다. 자연재해로 파손된 저수지의 안전 등급 점검 결과, 양호 판정을 받은 저수지에 피해가 집중된 셈이다. 따라서 분기마다 사실상 육안으로만 진행되는 저수지 안전평가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수지 안전 및 수질관리는 농업인의 생명과 생업에 직결된다. 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안정적 용수 공급을 통해 영농 편의를 돕기 위해 노후 저수지 연차별 보수·보강 계획이 강화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