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쓰레기소각장 부지 재공모도 ‘대박’ 조짐
현재 3곳 접수…문의도 잇따라 이달 29일 마감…추가 신청 전망 주거환경 개선 기대시설로 인식 최종입지 1천억원 지원 효과도 "주민 선호 여가·문화시설 조성"
1천억원 이상 지원하게 될 광주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이 들어설 부지 재공모에 시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오는 2030년 가연성생활폐기물 직매립금지에 대비해 역점 추진 중인 자원회수시설 입지 재공모에 이날까지 3개소가 신청했다. 이외에 5~6곳이 공모 참여 문의를 하고 있어 후보지 접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광주시 안팎에서는 지난해 첫 공모때보다 신청 접수가 늘어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당시 마감 10일 전에는 두 곳 정도만 접수했다가 마감 당일 4곳이 추가되면서 모두 6곳이 신청서를 제출해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후 6곳 모두 응모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광주시는 지난해 12월1일부터 오는 29일까지 60일간 자원회수시설 입지후보지 재공모에 나섰다. 신청부지는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세대주 50%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자원회수시설이 재공모에서도 주목받는 건 지역발전을 견인할 기대시설로 인식된 게 주 이유다.
자원회수시설은 과거 악취와 소각 연기 등으로 기피시설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유해성이 사실상 100% 방지된 친환경적이고, 주민친화형 랜드마크 시설로 더 크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 하남시의 유니온 파크와 충남 아산시의 자원회수시설, 경기도 평택시 오썸플렉스, 덴마크 아마게르바크 등 국내외 성공사례가 알려지면서 쓰레기소각시설은 더 이상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지역발전과 주거 환경을 개선할 새로운 ‘게임체인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광주시는 국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자원순환시설을 ▲문화·체육·여가공간으로 조성하는 주민친화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건축물을 활용한 지역명소로 탈바꿈한다는 방침이다.
최종입지로 선정된 지역에 대한 지원도 시민들의 관심을 제고시킨 요소로 꼽힌다. 후보지로 최종 선정되면 해당 자치구에 200억원, 지역주민 숙원사업비 300억원을 지원한다. 또 특별지원금 500억원도 추가돼 총 1천억원이 자치구와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지원된다.
여기에 ‘폐기물시설촉진법’에 따라 공사비의 20%인 약 600억~800억원 규모로 문화·체육·여가 등 편익시설을 설치한다. 또 폐기물반입 수수료의 20% 범위에서 지원하는 주민지원기금도 해마다 10억원 이상 조성될 예정이다.
재공모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광주시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광주시 자원순환시설 입지선정위원들은 17일 충남 아산과 천안의 선진시설을 방문해 입지 선정에 필요한 사회적·환경적 여건 등 등을 살펴봤다. 다른 지역 사례 등을 통해 입지 선정 이해도를 높이면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로 최적의 후보지를 찾기 위해서다.
광주시는 또 유치문의가 입지후보지 신청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직접 찾아가는 설명회, 다른 지역 시설견학도 준비중이다.
박윤원 광주광역시 자원순환과장은 "신규 자원회수시설은 주민이 선호하는 여가·문화시설과 함께 환경적이고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명소로 조성할 계획"이라며 "오는 29일까지 입지후보지를 모집하는 만큼 최적의 입지가 선정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