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전남 ‘지민비조’, 더불어민주당에 일종의 경고
제22대 4·10 총선에서 광주·전남지역 유권자들은 ‘지민비조(지역구는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 투표성향으로 민주당에 경고장을 날렸다.
남도일보 총선 표심 종합 분석 결과, 민주당 텃밭 민심은 당내 경선 파동과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 등 각종 악재에도 광주·전남 지역구 18곳 모두 민주당 후보에게 거의 압도적인 표를 몰아주면서 금배지를 달아줬다. 아직까지 지역 정서상 국민의힘 후보를 당선시키기 어려운데다 민주당 중심의 ‘정권 심판론’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후보 개인의 능력과 자질보다는 특정 당을 보고 표를 찍는 이른바 ‘묻지마 투표’가 재현된 셈이다.
반면, 비례대표 투표 결과를 보면 광주는 5개 자치구 모두에서 조국혁신당이 40%대 중·후반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은 30%대 지지율을 얻는데 그쳤다.
전남의 경우 더불어민주연합이 42%로, 조국혁신당을 2%p 안팎으로 앞섰으나 22개 시·군 중 절반에 가까운 9개 시·군에선 조국혁신당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시 단위 5개 지역에서는 조국혁신당이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조국혁신당 득표율만 놓고 보면 전국 평균(24.25%)보다도 2배 가까운 수치다.
이처럼 광주·전남지역에서 ‘지민비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조국혁신당의 ‘정권 심판’과 ‘검찰 개혁’이란 선명한 선거 전략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조국혁신당이 민주당보다는 윤석열 정부의 독주와 실정을 막는데 더 적격이라는 기대심리가 표심으로 드러났다. 입시 비리 등을 놓고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하지 않았냐는 조국 대표의 동정론이 일부 작용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지민비조’는 지역민들이 언제라도 민주당에 회초리를 들 수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