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정부, 전남 벼멸구 피해 자연재해 즉각 인정해야

2024-09-26     남도일보

 

벼멸구로 주저앉은 벼
전남지역에서 벼 수확기 고온현상이 지속하면서 벼멸구가 급속도로 번져 피해 면적이 지난해 38배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사진은 벼멸구 피해 현장 점검하는 명현관 군수. /해남군 제공

최근 지속적인 폭염으로 발생한 전남지역 벼멸구 피해에 대한 정부의 즉각적인 자연재해 인정이 시급하다. 사상 최악의 쌀값 폭락에다 연이은 폭염과 폭우로 멍든 농심(農心)을 치유하는 유일한 처방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폭염일수가 23.1일로 평년보다 16일 길고 평균기온도 28.5도로 평년보다 2.2도가 높아져 전남 들녘에 벼멸구가 급속히 확산됐다. 피해 면적도 1만9천603㏊로, 전체 벼 재배면적 14만8천㏊의 13.3%에 이른다. 시·군별로 고흥 2천667㏊, 해남 2천554㏊, 보성 1천988㏊, 장흥 1천776㏊, 무안 1천500㏊ 등이다. 일부 피해 우심 지역의 경우 수확량이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란 우려까지 나온다.

벼멸구 피해가 심각하자 전남도와 농민들은 벼멸구 피해를 폭염에 따른 것으로 보고 농업재해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충분히 방제가 가능했다"는 등의 이유를 내세워 농업재해 인정에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농 광주전남연맹과 전여농 광주전남연합, 쌀협회 광주전남본부도 26일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벼멸구 피해 자연재해 인정을 촉구했다. 농민단체들은 농업재해대책법에는 폭염도 피해 복구지원 대상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정부가 이상고온에 따른 벼멸구 피해라며 자연재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벼멸구 피해가 지속적인 폭염으로 발생한 만큼 자연재해로 인정하고 즉각 피해조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전남도도 지난 22일 벼멸구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때마침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이번 주말 해남을 방문할 예정이다. 송 장관은 이번 피해 현장 시찰을 통해 피해 원인 확인 절차 등을 거쳐 신속히 벼멸구 피해를 자연재해로 인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