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 쓰레기 소각장 입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광주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입지공모 재추진 결과, 6곳이 신청하면서 입지 선정을 더 이상 늦춰져서 안 된다는 지적이다. 2030년부터 시행되는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하기 위해선 내년 안으로 최종 후보지가 결정돼야 한다. 이후 3년간의 공사를 거쳐 2029년 완공·시험 가동을 거쳐야 2030년 본 가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면 1천100억원 이상이 지원되는 광주 쓰레기 소각장 입지 후보지 공모 마감 결과, 광산구 4곳, 서구·남구 각 1곳 등 총 6곳이 신청했다. 동구와 북구는 후보지를 내지 않았다. 이번 공모는 지난 7월 광주시가 2년 간 추진해 오던 후보지 결정 절차를 전격 취소하면서 시작됐다. ‘5개 자치구 선(先) 신청, 광주시 후(後) 결정’으로 공모 방식을 바꿔 진행됐다.
광주시는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제출된 입지후보지를 대상으로 입지선정 절차를 본격 추진하며, 전문기관의 타당성조사 결과를 고려해 최적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는 입지 후보지를 제출하지 못한 자치구를 대상으로 1곳 이상 신청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국내 선진지로 평가받는 하남(유니온파크), 평택(오썸플렉스), 아산(환경과학공원) 사례 등을 소개하며 쓰레기 소각장이 혐오시설이 아닌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주민친화시설로 조성할 수 있는 점도 공유했다.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을 더 미룰 수 없다는 절박함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2030년 이전에 소각장이 들어서지 못하면 하루 650t가량의 생활쓰레기를 곳곳에 쌓아 두거나 소각장을 갖춘 다른 지자체에 처리를 부탁해야 한다. 연간 100억원이 넘는 처리 비용도 광주시의 재정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의 쓰레기를 받아 줄 지자체가 나올지도 의문이다. 자칫 잘못하면 광주는 온통 쓰레기 뒤덮인 ‘흉물의 도시’로 전락할 수도 있다. 최악의 상황은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