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이정학의 ‘신비한 자연속으로’][197] 노랑뒷날개저녁나방

뾰족 털로 중무장…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우리나라 참나무 가장 많이 분포 참나무 먹이 식물 생명체도 많아 애벌레, 머리~꼬리 윗부분 황갈색 딱딱한 털…숨구멍 아래는 노란색 나방, 뒷날개에 노란·흑갈색 굵은띠

2024-10-13     남도일보

 

우리나라 어디를 가든 가장 흔한 나무는 참나무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를 우리는 흔히 ‘참나무 6형제’라 부른다. 신갈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는 모두 꽃이 핀 그 해 가을에 도토리가 익어서 떨어지는데 상수리와 굴참나무는 그해 꽃이 피고나서 그 이듬해 도토리가 달리고 떨어진다.

참나무들은 대체로 자기 영역을 정해 두고 같은 종류끼리 살아간다. 그리 높지 않은 야산이나 동네 뒷산에는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터를 잡는다. 경쟁자는 있어도 땅 힘이 좋고 습기 많은 계곡에는 졸참나무와 갈참나무가 버티고 있다. 사람이나 나무나 악착스럽지 못하면 좋은 자리를 빼앗기기 마련이다. 그래서 바람이 많이 불고 메마른 산 능선과 산꼭대기에는 신갈나무와 떡갈나무가 자란다. 산마루나 힘겹게 오른 정상에서 만나는 참나무는 대개 신갈나무다. 다른 나무들이 잘 찾지 않는 땅에서 자기들만의 영역을 이루고 산다.

참나무는 대표적인 음수인데 음수림은 천이(Succession)의 맨 마지막 안정상태인 극상에 이른다. 극상림은 변화가 매우 작으며 그 속도 또한 느리지만 하나 하나의 나무에는 수명이 있기 때문에 변화가 정지된 것처럼 보이지만 산림에는 항상 세대교체가 진행중이다. 음수림은 보편적으로 내화성이 강해 산불이 나더라도 크게 번지지 않는데 소나무로 대표되는 양수림은 요 근래 우리가 봤듯이 아무 것도 남는게 없는 잿더미 그 자체다. 우리 인간의 욕심 때문에 송이버섯, 잣 등 경제적 이유로 극상림을 훼손하고 소나무, 잣나무만 잔뜩 심어 놓으니 조그마한 산불도 어마 어마한 대 재앙이 되는 것이다.

참나무는 흔하게 보이는 만큼 이것을 먹이식물로 살아가는 생명들도 엄청 많다. 덩치가 큰 곰이나 멧돼지를 비롯해 아주 작은 잎말이나방 애벌레까지 다양한 생명체들이 더불어 살고 있다. 계절에 따라 녀석들을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오늘은 노랑뒷날개저녁나방을 소개해 볼까 한다.

2015년 6월 20일, 화순 동면에 있는 환산정을 찾았다. 서성지에 떠 있는 환산정의 정취에 흠뻑 젖어 있는데 눈에 들어오는 녀석이 있다. 참나무류의 잎 위에서 몸을 접고 있는 녀석, 머리에서 꼬리까지 윗부분은 황갈색은 띠고 숨구멍 아래는 노란색이다. 등의 털은 딱딱하고 끝부분은 검은색을 띠고 있다. 배 옆면의 털은 연노랑색으로 무장(?)하고 있다. 노랑뒷날개저녁나방 종령 애벌레다.

2016년 9월 10일, 광산구 본량의 용진산에서 녀석을 다시 만났다. 실을 엉기성기 엮어 놓고 있다. 아마도 탈피 준비중인 모양이다. 거의 다 자란 종령으로 보이는데 마지막 탈피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노랑뒷날개저녁나방 애벌레는 보통 7월에 활동하는데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는 것 같다.

2023년 7월 23일, 천안의 성거산에서도 녀석을 만났다. 초령에서 중령쯤 되는 녀석으로 보이는데 몸을 접고 있다. 거의 움직임이 없이 가만히 있다. 추측컨대 탈피하기 위해 실을 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엉기성기 실을 치는 모습까지 관찰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다 자란 애벌레는 낙엽층 아래에서 실을 대강 두르고 번데기 되어 8월이면 우화한다.

노랑뒷날개저녁나방은 어떻게 생겼을까?

뒷날개는 노란색에 흑갈색 굵은 띠가 둘러 있다. 앞날개는 초록빛이 도는 황갈색 바탕이며, 중실에 가락지무늬와 콩팥무늬가 있다. 노랑뒷날개저녁나방은 직접 만나 보지 못해 김상수 저자에게 사진을 부탁했더니 기꺼이 보내준다. 동정을 비롯해 항상 기꺼이 도움을 주니 정말 고마운 친구다.

무던히도 덥던 여름도 지나고 짧은 가을이 깊어간다. 곧 겨울이 올텐데 애벌레들과 만나는 것도 내년을 기약해야 할 것 같다.

글·사진/이정학 숲 해설가
 

노랑뒷날개저녁나방 애벌레(2023년 7월 2일, 성거산)
노랑뒷날개저녁나방 애벌레(2015년 6월 20일, 환산정)
노랑뒷날개저녁나방 애벌레(2016년 9월 10일, 용진산)
노랑뒷날개저녁나방(2019년 8월 19일)
떡갈나무(2014년 11월 15일, 추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