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테크노파크 안일이 부른 행감 중단 사태

2024-11-06     남도일보

 

광주광역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는 지난 5일 오전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테크노파크가 제출한 감사 자료 상당 부분이 불일치해 감사 중단을 결정했다. /광주시의회 제공

광주시 산하기관들에 대한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행감)가 잇단 부실 및 허위 자료 제출로 중단되는 등 파행을 빚었다. 행감 보이콧 사태는 시의원들의 ‘군기잡기’ 차원이란 일부 해석도 나오지만 전적으로 산하기관의 느슨한 행정이 부른 불상사다. 해당 기관장은 직원들의 단순한 오타 또는 오기라고 해명했으나 조작이 의심되거나 고의로 누락했을 가능성이 높은 자료도 많기 때문이다.

광주시의회 산건위는 지난 5일 광주테크노파크의 현황 보고 자료 부실을 이유로 행감을 중단했다. 해당 기관에 대한 행감은 추후 일정을 정해 다시 진행할 예정이다.

강수훈 시의원은 이날 "2023년 직급별 급여 내역의 경우 작년 보고에서는 임원·단장·본부장 합산액이 2억5천500만원이었으나 올해는 2023년 기준 5천600만원만 지급했다고 축소 보고했다"고 지적했다. 6급 급여 수치는 14억원에서 21억원, 7급은 8억6천만원에서 13억원으로 크게 달라져 있으며 공무직 급여 현황은 아예 누락했다는 게 강 의원의 주장이다. 중소벤처기업 매출과 폐업 현황도 2022년 기준 매출을 6천651억원으로 보고했다가 3천909억원으로 바꿔 보고하기도 했다.

광주테크노파크 측은 담당자의 실수라고 항변했으나 궁색한 변명이란 지적이다. 이날 광주그린카진흥원의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정원과 공사 입찰 현황 등과 관련한 문제점이 발견됐다.

앞서 전날 열린 행감에서도 광주도시공사의 법률고문 대리인 명단과 각종 위원 수가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관광공사의 경우 수요응답형(DRT) 시티투어 버스 자료를 허위로 만들거나 고의로 수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의원들이 의회를 경시하고 행정에 대한 시민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피감 기관들의 태도에 분노한 이유다.

부실 및 허위 자료 제출 등으로 민선 8기 후반기 첫 행감 중단 사태가 재발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