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7조6천69억원·전남도 12조5천436억 내년도 예산안 편성

2024-11-11     심진석 기자
이병철 광주광역시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오후 브리핑룸에서 2025년도 광주광역시 예산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市 10.2% 상승
통합 돌봄·사회적 약자 지원
인공지능 관련 산업 인재육성

광주광역시와 전남도는 내년도 예산으로 각각 7조6천억여원와 12조5천436억원을 편성했다.

광주시는 민생안전 및 경제활성화, 전남도는 미래 100년 먹거리 신산업 육성 등에 집중했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2025년도 본예산안을 올해보다 7천27억원(10.2%) 증가한 7조6천69억원을 편성, 11일 광주시의회에 제출했다.

경제, 인구, 기후 등 3대 지표회복에 초점을 뒀다는 것이 광주시 측 설명이다.

주요 예산안을 보면 경제주체 12종 정책 자금 지원 분야에 545억원을 편성했다. 또 공공배달앱 지원에 8억 3천만원, 청년월세지원 및 활동 지원에 242억원을 반영했다.

지역 미래 전략 산업 중 하나인 AI산업 육성 및 기업 지원 분야에 197억원을 투입한다.

복지정책 반영 비율도 높혔다.

보편적 저출산 극복지원사업 및 사회적약자 지원 분야에 각각 2천264억원, 1조1천884억원을 편성했다.

이밖에도 ‘공공의료서비스’, ‘안심도시, 기후위기 회복’, ‘책 읽는 광주’ 등 의료 및 기후, 문화 분야에도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기아타이거즈 우승, GGM의 캐스퍼 전기차 54개국 수출 등을 달성했다. 이 모두는 광주의 힘이다"며 "시는 내년에도 이러한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나갈 것이다. 그 첫 단추가 될 내년도 본예산 편성을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7월 재정혁신단을 신설해 주요 투자사업을 점검했고, 비효율적인 예산 삭감과 추가 세입 확보 등을 통해 재정효율화에 만전을 기했다"며 "유사·중복성사업은 통합을 통해, 불요불급한 예산은 고강도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건정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장헌범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오전 기자실에서 2025년 예산안에 대한 설명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道 2.4% 상승
인구 대전환·민생 회복 집중
미래 먹거리 등 이젠 전남시대

전남도의 내년도 예산안은 올해 본예산(12조 2천462억)보다 2천974억(2.4%) 늘어난 규모다.

일반회계는 3천666억(3.8%) 증가한 9조9천622억원, 특별회계는 298억(2.7%) 늘어난 1조1천386억원이다. 기금은 990억원(6.4%) 줄어든 1조4천428억원이 편성됐다.

최근 3년간 전남도의 연도별 본예산은 2023년 11조8천99억원, 2024년 12조2천461억원, 2025년 12조5천436억원이었다. 긴축 재정 기조로 전년 대비 증가율은 4.7%, 3.7%, 2.4%로 해마다 감소세다.

전남도는 긴축재정 속에서도 중복성·관례적 예산과 유사·중복사업, 불필요한 업무 등 낭비적 지출요인을 분석해 민생, 현안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을 마련했다. 인구 대전환, 민생 회복, 따뜻한 행복공동체, 미래 100년 먹거리 신산업 육성 등에 집중하기로 했다.

일자리 경제 분야 2천510억원, 농림해양수산분야 1조8천964억원, 인구·청년지원 및 복지분야 3조5천513억원, 문화관광 분야 4천307억원, 도민 안전 분야 6천606억원, 정주여건 개선 및 사업간접자본(SOC) 분야에 7천205억원을 지원한다.

장헌범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역대급으로 어려운 지역경제를 살리고, 도민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민생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했다"며 "도민께 새 기회를 제공, ‘이제 전남시대’를 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심진석·안세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