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일보 데스크 시각]청년들 떠나는 지역, 희망이 없다

고광민(남도일보 경제부장)

2024-11-21     고광민 기자

 

고광민 남도일보 경제부장

청년들이 지방을 떠나고 있다. 갈수록 심각해진 저출생 문제와 고령화 등으로 고사 직전인 지방에 이젠 청년들까지 점점 등을 돌리고 있다. 청년인구 소멸 문제까지 가중되면서 지방은 더 이상 미래가 보이지 않은 ‘암운’ 그 자체다.

지방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서울·경기 등 수도권으로 몰려드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수십년 전부터 이미 예견됐으며 그 심각성도 전문가들에 의해 누누이 지적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청년(19~28세)패널조사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서 일하는 청년 비중은 지난 2007년 3.3%였으나 2021년 2.5%로 감소했다. 전남은 2.6%에서 3%로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치다. 광주·전남서 일하는 청년 비중은 두 곳을 합쳐 고작 5.5%로 100명 가운데 5~6명만이 지역에 남아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올해 3분기 동안 광주 827명·전남 1천541명의 20대 청년들이 지역을 떠났으며 1~3분기 20대 순유출 인원은 무려 8천 575명에 달했다. 반면, 서울·경기 등 수도권서 경제활동을 하는 청년층은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2007년 서울·경기서 일하는 청년 비중은 모두 45.9%였으며 2021년 서울 29.1%·경기 24.7%로 점점 늘고 있는 상황이다. 갈수록 수도권 집중현상이 심화되는 분위기다.

더욱이, 지방은 대학 졸업 후 1년 내 취업 비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2007년 광주지역 대학 졸업생 중 63%·전남지역 졸업생 중 64%가 졸업 후 1년 내 취업했으나 2021년은 각각 29%·55%로 급감했다.

취업까지 걸린 기간도 10.5개월에서 12.1개월로 길어졌다. 광주·전남 청년들이 대거 수도권으로 빠져 나가는 현상은 일자리 문제와 주택·교육 및 문화를 포함한 ‘삶의 질’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특히, 대기업 등 높은 연봉의 안정된 직장을 구하기 위해 지방을 떠나 기업체들이 밀집된 서울 등 수도권이 종착지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지방에서 괜찮은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고, 근로 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취업·임금·교육·경제적 만족도 등 전반적인 지방의 삶의 질이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 비해 뒤떨어져 ‘청년 이탈’이 가속화 되고 있다. 실제, 전국 기업 분포를 보면 서울 등 수도권 인구 분포와 깊은 연관성을 갖는다. 수십년 동안 기업 등 관련기관 등의 쏠림은 곧 인구 편중으로 이어졌고, 점점 굳어져 고착화 됐다.

더욱 심각한 것은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 연봉소득과 취업기회 면에서 지방이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떨어질 순 있지만, 값비싼 주택 및 아파트와 고물가 영향· 교통 등 밀집된 인구문제를 감안할 때 ‘삶의 질’은 비수도권 지방이 더 낫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따라서, 청년 취업을 위한 맞춤 서비스를 확대하고, 주거·교통·문화 등 생활 전반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한다면 청년들이 더 이상 떠나지 않고,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등의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희망적 분석이 나름 설득력을 얻는다. 어떻게든 양질의 일자리가 지방에 마련돼 숨통이 트이면 청년인구 유출은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지역기반 신생기업 육성과 지속적인 투자환경 조성이 필요조건으로 제시된다. 전문가들이 늘 강조하던 ‘기업 유치’ 등이 해법인 셈이다. 여기에, 산·학·연이 똘똘 뭉쳐 탄탄하고 실효성 있는 창업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 또, 민간부문의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향후 발전 가능성 높은 AI(인공지능)·문화 콘텐츠·관광 등 지역 특화산업을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

청년들이 떠나간 지역은 희망과 미래가 없다. 텅 비어버린 곳에 노인들만 남아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결국엔 지방소멸이란 파국적 결말을 맞는다.

청년들의 수도권 이탈은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 차원에서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중장기 대책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기업 유치와 주거 환경 개선 등 떠나갈 청년들을 붙잡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모조리 세워 실행에 옮기는 등 지역상생을 위해 무엇이든 힘을 모아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