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 "대통령실, 광주 군공항 이전 TF 결론 서둘러야"
TF 구성 2달…6자 정식회의 개최 필요 무안군 6자 협의체 참여, 암묵적 합의 통합공항 방향 서남권 관문으로 건설
강기정 광주시장이 대통령실 산하 군공항 이전 태스크포스(TF)의 정식 회의 소집과 중간 결론 도출을 촉구하며 무안군의 TF 참여는 사실상 통합공항에 대한 동의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강기정 시장은 무안공항의 국제선 재개항 로드맵 마련과 사고 진상 규명도 정부의 책임 있는 대응을 요구했다.
강 시장은 16일 오전 광주시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6월 대통령 타운홀 미팅에서 무안군수가 직접 참여했고, 이어 6자 TF에 의견을 내고 활동에 임한 것은 서남권 통합공항 건설에 대한 사실상의 동의 신호"라며 "이제 대통령실은 TF 정식 회의를 열어 최소한의 중간 결론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무안군민들의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광주 군공항 이전에 찬성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는 군공항 이전뿐 아니라 민간공항을 포함한 통합공항 건설에 동의하는 민심을 보여준다. 정부가 책임 있게 서남권 관문공항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2023년 말 김영록 전남지사와 합의한 내용도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무안공항으로 통합하자는 원칙이었다"며 "군공항 건설 시기는 늦춰질 수 있지만, 민간공항 이전은 KTX 개통 시점과 연계해 TF에서 논의하고 결정하면 광주시는 그에 따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지역 일부에서 제기된 ‘광주공항 국제선 복원론’에 대해 강 시장은 "무안공항 사고 이후 폐쇄 장기화로 주민과 관광업계 고통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국제선을 다시 광주로 가져오는 문제는 지역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사안이기 때문에 섣불리 주장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그는 "광주시가 임시 국제선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한 바는 있고, 이는 무안공항 정상화 전까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덧붙였다.
무안공항 사고의 진상 조사와 재개항 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강 시장은 "무안공항이 아직 재개항되지 않으면서 광주·전남 시도민들의 공항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고 관광·소상공인들의 경제적 타격이 심각하다"며 "국토부는 조속히 재개항 로드맵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유족과 피해자들이 느끼는 정부의 진상 규명 속도는 너무 더디다. 보다 신속한 조사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끝으로 "광주시는 군공항·민간공항 통합을 통한 서남권 관문공항 건설이라는 큰 방향에서 흔들림이 없다"며 "준비할 일은 준비하고 책임질 일은 책임지며 정부와 전남도, 무안군과 함께 협의체를 만들어 반드시 통합공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김성빈 기자 ksb@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