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예비 경선부터 시민 의중 배제된 민주당 공천룰
내년 6·3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지역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사실상 권리당원의 손에 좌우될 전망이다. 공천룰이 시민 의중 보단 권리당원 비중에 치우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민주당 공천=당선’이란 등식이 깨지지 않은 지역 특성상 경선이 사실상 본선이어서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직 선거가 극성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 데다 권리당원 확보에 우위를 보이는 현역 등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민심을 왜곡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19·20일 진행되는 민주당 전당원 투표 안건에 따르면 내년 지방선거 예비 후보자 검증위를 통과한 예비 후보가 4인 이상일 경우 권리당원 100% 참여로 1차 조별 예비 경선이 치러진다. 2차 경선에는 당원 50%와 국민여론조사 50%가 각각 반영된다. 광역·기초 비례대표 후보자도 100% 권리당원 투표제로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컷오프 없는 완전 경선을 실현하고 당원 주권 시대와 권리당원 열린 공천 시대를 열겠다는 정청래 당 대표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 같은 공천룰이 최종 확정되면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광주·전남을 방문해 언급했던 호남 경선 방식 변경 필요성과 배치될 수도 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절대 우세지역·절대 열세지역·중립지역 등 3가지로 구분해 지역별 특성에 따라 당원 반영 비율에 차등을 두는 방안을 당에 제시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광주·전남시국회의도 지난달 20일 광역 및 기초단체장 경선에서 일반 유권자와 권리당원 비율을 80%대 20% 수준으로 조정해 일반 유권자의 참여 폭을 크게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그럼에도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난 8월 마감한 민주당 신규 권리당원 모집 결과, 광주·전남에서 30만여 명이 입당 신청서를 냈다. 이 중 중복·허위 신청 등으로 40% 이상이 반려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과열 및 조직 선거 우려가 동시에 제기됐다. 공천룰이 ‘텃밭 민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내년 지방선거 최대 관심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