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민간 공항, 무안으로 先이전한다
광주·전남도·무안군 회동 ‘큰틀 합의’ 고속철 2단계 개통 맞춰 민간공항 이전 광주·정부 ‘기부대 양여’1조원 마련 정부, 국가산단 등 첨단산업 기반 조성 12월 중 국토부 등 포함 6자 TF가동
광주광역시가 광주공항에 있는 민간공항을 군공항 이전에 앞서 무안공항으로 이전하고, 무안군 지역 발전을 위한 1조 원도 기존 ‘기부 대 양여’ 형태로 재원을 마련해 지원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정부도 무안군 발전을 위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 군공항 이전을 위해 대통령실과 3개 지방정부들이 큰 틀에서 합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도와 광주시 등에 따르면 19일 서울 용산의 한 식당에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선으로 김영록 전남도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김산 무안군수가 오찬을 겸해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전 추진을 위한 사전협의를 진행했다. 협의는 이날 오전 11시 45분부터 오후 1시 10분까지 약 1시간 25분 정도 이뤄졌다.
이번 회의는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광주·전남 타운홀 미팅에서 밝힌 ‘대통령실 주관 군공항 이전 6자 TF’ 구성을 위한 사전 단계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통합이전의 주요 쟁점뿐 아니라 지역 발전 방안과 주민 의견 수용 방안 등에 대해서도 폭 넓게 의견을 교환했다.
협의 결과 대통령실과 세 지방정부는 정부가 마련한 중재안에 큰 틀에서 공감대를 이루고, 12월 중 조속히 6자 TF를 가동하기로 했다.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의 중재안은 첫째, 호남고속철 2단계 개통 시점에 맞춰 광주 민간 공항을 군 공항 이전에 앞서 무안으로 이전하기로 한다. 호남고속철 2단계 개통은 오는 2027년 말로 예정돼 있어 민간공항 이전은 빠르면 내년, 늦어도 내후년에는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는 광주광역시가 1조원 규모의 무안군 주민지원사업 재정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방식대로 이전한 광주공항 잔여 부지를 개발해 발생한 수익금을 무안군에 지원하는 ‘기부 대 양여’ 형태를 유지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부가 농지전용 부담금과 같은 광주시의 각종 개발 부담금을 감면하는 형태로 약 3천억 원의 재원을 정부가 지원해 재원을 마련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세 번째는 정부가 국가산단 등 첨단 산업 기반을 무안군에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국토교통부 등 실무부처와의 후속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이 같은 협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특히 광주광역시를 약 일주일전에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무안군의 요구사항에 대한 광주시의 양보를 얻어내 협의가 성사된 셈이다. 이번 사전협의를 계기로 수년간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던 공항 이전 논의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는 평가다.
대통령실과 전남·광주·무안 3개 지방정부는 앞으로 실무협의회에서 세부 사항을 조율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해 12월 중 6자 TF에서 사실상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박재일 기자 jip@namdonews.com·박형주 기자 hispen@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