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광주 군공항 이전 연내 합의도 가능…이전 논의 급물살

대통령 지시 이후 표류 6자 TF 정상화 예고 남도일보 여론조사서 민심변화 공식 확인 대통령실, 무안군 ‘3대 조건’ 조율에 성공 4자 협의 성사로 구체적 이전 합의 가능성

2025-11-19     박재일 기자

 

광주공항 계류장에 있는 민간 항공기와 광주1전투비행대 소속 전투기. /남도일보 DB

광주·전남 주요 현안인 광주 민군통합공항 이전 논의가 이재명 대통령의 국가주도 약속 이후 5개월만에 급물살을 타고 있다.

장기간 답보 상태였던 군 공항 이전 6자 TF(협의체)가 19일 서울에서 대통령실과 광주·전남·무안 간 4자 사전협의가 계기가 돼 이르면 올해 안에 이전 합의가 가시화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얽히고 설킨 광주 민군통합공항 이전 문제의 실타래를 풀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한 것은 지난 6월 25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이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군 공항 이전 문제를 핵심 의제로 지목한 뒤 "군 공항 이전 문제는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것아 것이 맞다"고 지적하고 광주시·전남도·무안군·국방부·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가 참여하는 6자 TF를 대통령실 내 설치할 것을 지시했다.

하지만 이뿐이었다. 6자 TF 구성 방안을 둘러싼 실무협의가 서너차례 이뤄졌을 뿐 장관·단체장이 참여하는 공식 TF 회의는 열리지 않았다.

이러는 새에 무안군은 군 공항 이전 후보지를 "대구 군 공항 사례처럼 공모 방식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고 광주시는 "공모 방식은 실효성이 없다"고 정면 반박하며 두 지자체가 정면 충돌 양상까지 보였다.

상황이 급변한 것은 남도일보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민심의 급변이었다.

지난 9월과 10월 남도일보가 광주군공항 이전과 관련 무안군민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1차 조사에서 찬성 53.3%, 반대 38.4%, 2차 조사에서 찬성 55.0%, 반대 39.2%로 나타난 것이다. 이제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반대가 50%를 넘었던 것과 전혀 딴판의 역전의 변화가 확인된 것이다.

남도일보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군공항 이전 반대에 있던 김산 무안군수와 10월16일 언론사 최초로 대담을 통해 "6자 TF 공식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없다"며 "대통령실이 주관하는 이 회의에 무조건 참석한다"는 발언을 이끌어냈다.

김 군수는 이날 대담에서 "6자 TF에 참여해 무안군의 3가지 요구조건을 당당히 주장하고, 무안군민 다수가 원한다면 군공항 이전에 따른 피해와 특별한 보상, 미래먹거리를 위한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무안군은 이어 대통령실 요구에 따라 ▲광주 민간공항 선(先) 이전 ▲광주시의 1조 원 지원 이행 담보 ▲국가 차원의 획기적 인센티브 제시 등 ‘3대 조건’을 담은 공식 입장문을 대통령실에 전달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국정감사에서 "6자 TF 가동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12월 안에 TF 회의를 열겠다"고 밝혀 연내 첫 회의 개최의지를 밝혔다.

이후 광주·전남·무안 등 3개 지자체는 최근 전남에서 만남을 통해▲민간공항 선이전을 조건으로 한 군공항 이전 ▲오는 2027년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에 맞춘 광주 민간공항 이전 방안 ▲광주시가 무안군에 지원하기로 했던 1조 원 중 부족분 3천억 원의 정부사업 보조 ▲무안지역 첨단 국가산단·기업 유치 등에 대한 신속한 지원 등 상당 부분 의견 접근을 이뤘다.

이후 19일 오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재로 지난해 7월 이후 1년 3개월 만에 다시 서울 용산 한 음식점에서 만난 김영록 전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김산 무안군수는 ‘6자 TF 12월 첫 회의 개최’에 원칙적으로 합의에 이르렀다.

광주와 전남, 무안은 다음 달 중 국방부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까지 참여하는 첫 6자 TF가 가동되면 무안군 지원방안의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마련해 대통령실과 3개 지자체 실무협의회에서 세부적인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대통령실은 당초 거론됐던 기부대양여 방식의 한계를 고려해 공적기금 활용, 금융비용 지원, 국가·공기업 참여 등 실질적 재원 지원 방안도 구체화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이미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12월 TF 첫 회의를 계기로 올해 안에 구체적인 이전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박재일 기자 jip@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