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여는 시]성에꽃 - 최두석
성에꽃
최두석
새벽 시내버스는
차창에 웬 찬란한 치장을 하고 달린다.
엄동 혹한일수록
선연히 피는 성에꽃
어제 이 버스를 탔던
처녀 총각 아이 어른
미용사 외판원 파출부 실업자의
입김과 숨결이
간밤에 은밀히 만나 피워 낸
번뜩이는 기막힌 아름다움
나는 무슨 전람회에 온 듯
자리를 옮겨 다니며 보고
다시 꽃이파리 하나, 섬세하고도
차가운 아름다움에 취한다.
어느 누구의 막막한 한숨이던가
어떤 더운 가슴이 토해 낸 정열의 숨결이던가
일없이 정성스레 입김으로 손가락으로
성에꽃 한 잎 지우고
이마를 대고 본다.
덜컹거리는 창에 어리는 푸석한 얼굴
오랫동안 함께 길을 걸었으나
지금은 면회마저 금지된 친구여.
추운 겨울, 새벽 시내버스에 탄 사람들은 가난하지만 부지런히 살아가는 서민들이다. 화자 또한 마찬가지이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의 자리를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이마를 대는 행위는 공동체적 연민과 동병상련의 마음이다. 화자는 성에가 꽃으로 인식되는 과정에서 차가운 아름다움을 느낀다. 주어진 현실은 성에처럼 차갑지만, 새벽 첫차를 타고 일하러 가는 사람들은 꽃처럼 아름답다는 말이다. 그러니 성에는 찬란한 치장이고, 꽃이파리이고, 기막힌 아름다움이고, 막막한 한숨이고, 정열의 숨결이다.
성에꽃이 핀 유리창에 친구 얼굴이 어린다. 가장 친했던 친구, 지금은 감옥에 있는 친구가 생각난다. 함께 부정적인 현실에 맞서서 서민들을 위해 투쟁하다 감옥에 갇힌 친구다. 면회마저 금지된 차가운 현실 앞에 친구 얼굴이 성에꽃으로 피어난다.
이 시는 서민들에 대한 연민과 공동체적 연대감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했다. 성에는 기온이 영하일 때 유리나 벽 따위에 수증기가 허옇게 얼어붙은 서릿발을 뜻한다. 성에는 차갑고 부정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꽃은 따뜻하고 긍정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성에는 차갑고 냉혹한 현실을, 꽃은 열심히 살아가는 서민들의 아름다운 열정을 비유한다. 즉 차가운 성에가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난 것이다. 성에꽃은 미화이고, 차가운 아름다움은 모순 형용으로 냉온 감각을 대비하고 있다.
모순 형용에 의한 역설법은 뒤에 오는 피수식어를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성에보다는 꽃을, 차가움보다는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비록 현실은 차가운 성에로 가득하지만, 곧 아름다운 꽃이 피어날 거라는 희망을 강조하고 있다.
정훈탁/광주 국어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