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 인구 소멸 고위험 지역 ‘극약처방’ 나와야
백약이 무효다. 전남도와 도내 22개 시·군의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 및 지방소멸 처방전의 효험이 거의 없다. 오히려 전남 지역 내 인구 소멸 고위험 시·군이 10년 새 1곳에서 12곳으로 늘어났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전북·전남권 인구 감소지역 변화상’에 따르면 전남 22개 시·군 중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2015년 1곳(고흥)에서 2024년 12곳으로 늘었다. 대상은 담양, 곡성, 구례, 고흥, 보성, 장흥, 강진, 해남, 함평, 완도, 진도, 신안 등으로 전체 시·군의 54.5%에 달한다. 전체 17개 군의 70.6%다. 군 단위로는 무안·영광·화순·장성만 제외됐다.
지방소멸 위험지수는 20∼39세 가임기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낮음(1.5 이상), 보통(1.0∼1.5 미만), 소멸주의(0.5∼1.0 미만), 소멸위험진입(0.2∼0.5 미만), 소멸고위험(0.2 미만) 등 5단계로 분류된다.
전남 역시 0.32로 ‘위험’ 단계다. 전남의 청년인구 비율도 15.1%로 전국 평균(19.3%)보다 낮고, 고위험 지역 비율은 10.4%까지 떨어졌다.
반면, 전남 전체 고령화 비율은 27.2%이며, 고위험 지역은 39.4%로 초고령사회 기준(20% 이상)을 크게 웃돌았다. 순천시·광양시를 제외한 전남 모든 지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것이다.
전남지역의 청년인구 유출과 고령화 속도가 전국 최고 수준인 만큼 정주환경 강화, 산업기반 확대, 교육·의료 접근성 개선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중앙과 지방 정부의 ‘극약처방’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