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사회통합의 길, 독일 교육에서 찾다
광주·전남 ‘미래’가 된 지역 다문화 학생들
다문화학생, 광주 3천명·전남 1만명 규모
저출산속 꾸준히 늘어…5년 전 比 2배 이상
편견·차별적 시선 여전 “교육 중요성 커져”
‘사회통합’ 초점 맞춘 언어·이해교육 필요

광주·전남지역 다문화학생들이 늘면서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사진은 전남지역 학생들이 다문화 이해교실을 통해 해외 현지 음식을 만들어보고 체험하는 모습.

<편집자 주>
바야흐로 다문화시대다. 우리나라는 어느덧 외국인이 없는 모습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다문화로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산업단지를 중심으로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농촌에는 결혼 이주여성들이 이미 우리 사회 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농번기 농촌 들녘에서 일손을 돕는 외국인 농부를 찾는 것도 어렵지 않을 정도다.

다문화사회에서 내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최근 들어 가장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은 다문화 2세들을 위한 교육과 배려다. 올해 기준 우리지역 다문화 학생들은 1만3천여명에 가깝게 늘었다. 고질적인 저출산 속 이들은 이미 우리 지역사회 미래로 성장하고 있다. 다문화 학생들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이들을 위한 여러 교육정책도 마련돼 시행되고 있다.

이같은 노력은 모두 다문화 2세들이 우리국민의 일원으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성립하고, 자신의 능력을 맘껏 펼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학생들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은 이들의 올바른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중 하나다. 전문가들은 다문화 학생들은 물론 이주민들이 차별과 편견을 느끼지 않는 것이 사회통합의 첫 걸음이라고 조언한다.

이에 본보는 총 9차례에 걸쳐 우리 다문화교육 정책의 현주소를 들여다보고 보다 나은 대안을 찾아본다. 이중 6회는 난민을 대거 수용한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고 현지 기관·단체로부터 사회통합의 지름길을 모색해본다. 또 독일의 이주외국인정책, 이주외국인 자녀에 대한 교육 지원 정책방향, 독일 이민법이 보장하는 ‘사회통합코스’를 통해 대한민국과 지역 다문화 교육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1>광주·전남 다문화교육 현주소는?

◇다문화학생 1만여명 시대=광주·전남 다문화 가정 초·중·고등학교 학생은 지난해 기준 광주 3천40명, 전남 8천572명으로 총 1만1천612명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유치원생과 특수학교 학생들을 포함하면 모두 1만 3천여명에 이른다. 2012년 4천823명 수준이었던 지역 다문화 가정 학생수는 5년 만에 2.5배나 늘었다. 저출산으로 전체 학생수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반면 다문화 가정 학생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다문화가정이 상대적으로 많은 전남은 다문화학생이 전체 학생수의 5%에 이른다.

이처럼 다문화가정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시선은 여전히 편견과 차별로 가득차 있다는 것이 일선 현장의 목소리다.

김영경 광주새날학교 교감은 “한국에서 출생한 다문화 가정 2세들은 그나마 상대적으로 낫다”며 “외국에서 중도 입국한 다문화 가정 2세들은 언어 소통에 어려움이 많은데다 주위의 차별적인 시선 때문에 적응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교육조차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한정돼 있다”고 전했다.

전남지역 한 다문화가정 지원센터 관계자는 “다문화가정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아이들이 받는 차별”이라며 “부모 세대는 이미 성인이었기 때문에 차별과 괄시를 참고 견뎌냈지만, 다문화 2세들은 지금 보이지 않는 차별과 싸우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지역 다문화교육 정책은?=광주·전남 지역 학교 안팎의 교육 시스템은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을 통해 꿈과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이뤄지고 있다.

먼저 모든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이해교육을 비롯해 한국어·한국문화 집중교육, 찾아가는 예비학교, 문화예술 동아리 운영, 진로·직업교육, 정서·심리 상담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 학생이 공교육에 진입할 수 있도록 취학 및 편·입학 절차를 체계화해 돕고 있다.

그중에서도 전남은 다문화 정책학교 25개교를 선정해 다문화 학생은 물론 일반 학생들이 맞춤형 다문화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다. 이곳에서 이뤄지는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문화 배경의 학생들이 공평한 교육적 기회를 갖도록 지원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판단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내용 등이 교육과정에 포함됐다.

또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생각하고, 평가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다문화적역량)을 길러, 모두가 더불어 사는 가치와 태도를 기를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위한 다문화 감수성 제고와 자녀와의 소통, 교육 지원 역량 강화 등 교육을 펼치는 것은 물론 각 지자체 등 지역 내 다양한 다문화 교육 지원을 연계·활용해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 정책을 추진중이다.

전나의 한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는 다문화 학생들.

◇언어습득 ‘유아기’ 집중교육 필요=다양한 다문화교육 정책속 아쉬움도 남는다. 가장 큰 문제는 언어습득이 유리한 유아기 언어교육의 부재다. 이와 관련 신민호 전남도의회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은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부터 다문화 학생 지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교육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다양한 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꿈과 끼를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다문화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도 숙제다. 전남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초등학교 기초학력(3R‘s:읽기, 쓰기, 셈하기) 미달 학생 1천892명 가운데 다문화 학생은 169명으로 8.9%를 차지했다. 중학교에서는 124명 중 27명(21.7%)으로 비중이 커진다.

특히 도내 일반계고 졸업생 대학 진학률이 85~86%인 반면, 다문화학생의 대학 진학률은 최근 3년간 69.3%에 머물렀다. 다문화학생들이 다른 학생들과 비교해 학업에서 뒤처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교육청이 기초학력 책임교육을 실시하는 등 기초학력 신장을 위해 팔을 걷어붙인 배경에는 도내 다문화 학생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며 “다문화 학생 뿐만 아니라 전남의 모든 학생들이 고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은창 기자 lec@namdonews.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