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질환 일종·척추 신경 눌려 발생
허리통증 강도 약하나 방사통 등 증상 발현
재활 등 보존치료 진행·개선 없을 시 수술도
적당한 체중 유지 등 생활습관 변화 권장

김슬기 광주수완센트럴병원 신경외과 원장
김슬기 광주수완센트럴병원 신경외과 원장

허리는 척추를 중심으로 신체 균형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루에도 수백번씩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면서 자기도 모르게 사용하다 보니 허리는 다른 신체부위도 혹사 당하기 일쑤다. 그래서 한번 아팠다 하면 그 고통이 강도는 경험해보지 못한 이들이라면 상상도 못할 만큼 크다. 더욱 큰 문제는 한번 고통이 발생한 허리는 쉽게 치료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워낙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척추관협착증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허리 질환으로 많은 이들에게 크고 작은 불편을 안기고 있다. 이에 김슬기 광주수완센트럴병원 신경외과 원장의 도움으로 척추관협착증의 원인과 예방법 및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척추에는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이 퇴행성 변화의 일부로 척추관이 좁아질 수 있는데 협착으로 인해 척추신경이 눌려 통증, 감각저하, 근력감소 등의 병적인 증상이 동반되면 척추관협착증이란 진단명이 내려진다.

허리 디스크와 다르게 척추관협착증은 요통보다는 다리저림이나 당김 증상이 있어, 보행에 가장 큰 어려움을 나타낸다. 때문에 오래 걷기가 힘들고 오래 걷지 않았음에도 자꾸 주저앉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전형적인 협착증의 증상이라 할 수 있다.

◇증상

척추관협착증은 근본적으로 요추부(허리)의 문제이긴 하지만 허리디스크와 달리 허리통증이 항상 동반되지는 않으며, 있더라도 허리디스크에 비해 적은 정도의 통증이 나타난다.

하지만 문젠 방사통이다. 신경을 압박할 때 신경의 지배를 받는 부위로 쑤시거나 화끈거리는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만약 경추부(목)에 척추관 협착증이 생긴다면 상·하지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다리 근력감소, 보행 불편을 일으킬 수 있다. 요추(허리) 협착증은 방사통이 엉치에서 시작, 다리 아래로 내려갈 수 있으며 이 증상을 대부분 좌골신경통이라 한다.

감각저하도 나타날 수 있다. 신경압박이 심해지면, 신경을 통한 감각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통증과 더불어 감각저하, 이상감각 증상이 관찰된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견딜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 하지에 근력이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심하면 족하수, 즉 발에 힘이 안들어가고 걸을 때 발이 끌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일부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의 경우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척추관이 넓어지기 때문에 허리를 숙이고 있거나 앉아있는 것이 편안하게 느끼기도 한다. 허리를 펴고 오래 걷거나 서있기 어려우며 100~200m 이상 걸으면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통증이 심해 쪼그려 앉아서 쉬게 된다.

◇진단

척추관협착증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린다.

우선 X-ray검사는 척추 이상 여부, 즉 퇴행성 변화와 골격, 디스크 변화가 생긴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다. 퇴행성 변화가 여러부위에 걸쳐있으면 심한 정도나 주 병변을 감별하기 어렵다.

이때 시도되는 검사가 MRI다. MRI는 뼈와 신경, 인대, 근육, 기타 연조직을 모두 다 확인할 수 있는 최선의 검사 방법이다.

◇치료

척추관협착증은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올바른 생활습관 개선 등 방법으로 치료가 이뤄진다.

보존적 치료는 약 3주에서 3개월 동안 물리 치료, 자세 교정, 견인, 약물 요법, 허리 강화 운동, 보조기 착용, 신경 차단술, 시술(신경성형술) 등을 시행하게 된다. 대부분은 이와 같은 치료로 호전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친 다음에도 치료가 더딘 경우엔 수술이 권장된다. 물론 정밀 검사상 심한 협착증을 모두 수술하는 것은 아니며 증상에 따라 수술을 하게 된다. 서서히 신경길이 좁아져 신경이 충분히 적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우선 보존적 치료만을 시행하고, 반대로 검사상 많이 심하지는 않더라도 6개월 이상 걷는데 문제가 있고 심한 통증 및 마비가 있고 어느 단계 이상으로 협착증이 진행하면 신경길을 넓혀 주는 수술을 시행한다.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의 일종이다. 따라서 평상시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너무 많이 움직이거나 하는 등의 척추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앉거나 설 때 척추의 자세를 올바르게 하고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 또한 척추의 퇴화를 늦출 수 있는 방법이다.

글/김슬기 광주수완센트럴병원 신경외과 원장
정리/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