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식(정치부장)

 

재외동포(在外同胞)는 국외에 거주하는 한민족 동포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국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재외동포에게 재외동포청(동포청) 설립은 숙원이었다. 전 세계 한인회 등 한인 단체들은 재외동포 정책 수립과 권익 신장을 위한 정부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고 모국 정부에 줄기찬 건의를 해왔다. 18·19대 대선에서 후보들마다 설립을 약속했지만 윤석열 정부에서야 뜻이 이뤄지게 됐다.

재외동포 정책을 총괄하는 동포청 탄생이 눈앞이다. 국회는 지난달 27일 본회의에서 동포청 신설이 포함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법안 통과로 정부는 동포청을 올 상반기안에 설립할 계획이다. 동포청은 전 세계 193개국 732만 명(2021년 기준)에 이르는 재외동포를 관장하는 외교부 산하 행정기관이다.

자연스럽게 관심은 동포청이 어느지역에 위치할 것인지로 모아진다. 동포청 인력은 대략 150∼200여 명이 예상된다. 유치하면 최대 200명이 근무하는 정부기관이 들어서는 셈이다. 유치 경쟁이 치열할 수 밖에 없다. 광주도 뛰어들었다. 경쟁 상대로는 인천, 경기도 안산시 등이 거론된다. 인천은 대한민국 근대 이민의 출발지라는 역사성과 인천공항·인천항 등 지리적 조건 등을 앞세운다. 안산시는 국내 최대 다문화 거주 지역이라는 특성을 토대로 유치를 검토중이다.

동포청은 지리적 여건이나 역사성, 규모만으로 접근해선 안된다. 재외동포 사회에 대한 애정이 깊고 기여가 많은 지역에 자격이 주어져야 한다. 사회적인 상징성이 중요한 잣대가 돼야한다.

“광주에 가면 먹고 살 수 있고, 아프면 병원에 갈 수 있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다.” 국내외 재외동포 사회에 소문난 광주에 대한 평가다. 재외동포를 향한 광주 지역사회의 애정과 이해가 함축된 표현이다.

광주는 2011년 전국 최초로 중도입국 다문화 자녀들이 공부하는‘새날학교’를 공식 교육기관으로 인가했다. 자녀 교육을 위해 전국에서 재외동포 자녀들이 찾아왔다. 2013년에는 광주시고려인지원조례를 제정됐다. 인천, 경기 등 다른 지자체가 뒤를 따랐다. 또 고려인진료소, 법률상담소, 방송국, 한국어 교육 등 재외동포 정착 지원과 권익 향상에 필요한 사회적 자본과 시스템이 착착 갖춰지며 ‘국내 재외동포 사회의 모범’이 됐다.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문화, 전통이 광주에서 부활하기도 했다. 2년전 고려인의 이주 역사와 문화예술, 독립운동 등의 다양한 기록물을 간직한 ‘월곡고려인문화관 결’이 개관했고, 지난해는 고려인마을과 호남대가 공동 창제작한 뮤지컬 ‘나는 고려인이다’를 중앙아시아에서 공연했다. 이 역시 광주가 최초다. 재외동포와 시민들이 소통하고 협력한 결과였다. 올해 5월에는 세계고려인단체총연합회 출범식을 광주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동포청이 담당할 재외동포의 한민족 정체성 제고와 교육,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문화전통 계승을 광주는 스스로 해온 것이다. 지난해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나자 ‘고려인 동포 귀환을 위한 항공료 지원 모금 운동’을 전개해 900여명을 전쟁 참화에서 구해낸 건 세계적으로도 광주가 유일했다. 재외동포를 공동체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려는 포용정신이 시민사회 전반에 오랜기간 축적돼 왔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국내 어디에도 없는 광주만이 가진 특징이고, 대한민국의 자산이다. 이처럼 동포청이 광주로 와야 하는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