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수술 및 진료 연기 등 의료공백이 현실화되고 있다. 병원들은 전공의들의 빈자리에 대체인력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인해 가동되는 비상진료체계가 버틸 수 있는 기간은 2∼3주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여 의료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유 여하를 떠나 필수의료의 핵심인 전공의들이 환자 곁으로 다시 돌아와야 하는 이유이다.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던 서약을 자신의 목숨보다 귀중하게 여기는 게 의사들이기 때문이다.

이미 1천명이 넘는 서울 ‘빅5’ 소속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서를 내고 20일부터 근무를 중단했다. 지역 핵심의료기관인 전남대·조선대병원 전공의들도 사직서를 내고 출근하지 않고 있다. 광주기독병원과 순천 성가롤로병원 등 지역 병원 전공의들 역시 사직 행렬에 합류했다. 실제, 지난 19일 오후 11시 기준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 점검 결과 소속 전공의 55%인 6천4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사직서 제출자의 25%인 1천630명은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뇌종양 수술이 두 달 연기되는 등 광주·전남지역 환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지역민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환자를 지켜달라”는 호소의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의대정원 확대 문제는 국민 의료비 부담과 의료 서비스 저하, 효율적인 의료 인력 정책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해 종합적인 차원에서 다뤄져야 한다는 의료계 주장을 이해 못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로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병원을 떠나는 행위는 절대 용납될 수 없다. 복지부도 지금까지 근무지를 이탈한 총 831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하고 이행하지 않을 경우 면허정지 행정처분을 내릴 계획이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