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계 중심 연안 자원 관리·통제 시스템 갖춰야”
신안군 안좌도 낙지목장 운영 ‘대표적’
낙지 남획 방지·어종 보호 차원서 설치
어장 공동관리 통해 공유지 활용 극대화
교통난·통신망 극복 어촌체험마을 활발

 

해루질은 밀물과 썰물의 차이인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지역인 서해안에 주로 행해지는 어로행위다. 최근에는 어촌체험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성행하고 있다. 사진은 완도 고금도에서 해루질 모습./김재은 교수 제공

우리는 최근 제주도에서 해녀들과 해루질을 하러 온 사람들의 충돌이 있다는 얘기를 자주 듣고 있다. 며칠 전에는 경찰까지 출동하는 경우가 생겼다고 한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해녀가 하는 일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고 있다. 그러면 왜 해녀들과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는가? 해루질이란 단어를 처음 들어보는 사람들도 많다. 해루질은 옛날부터 물 빠진 바닷가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를 말한다. 해루질은 주로 밤에 횃불 등을 사용하여 불빛을 보고 달려드는 물고기를 잡는 전통어로 방식이다. 해루질은 밀물과 썰물의 차이인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지역인 서해안에서 주로 행해지는 어로 행위이다.

과거 이러한 전통어로 행위는 주로 그 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물 때에 따라 이루어졌다. 요즘에는 어촌체험 마을 등이 활성화되면서 어촌체험 마을 등에서 일반인들을 상대로 이런 활동들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곳들이 있다.

그러면 왜 해녀들과 해루질을 하러 온 사람들과 문제가 생기는 것일까? 우리나라는 해안가 마을에 거주하고 어업을 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어촌계라는 것이 만들어졌고, 국가에서는 이 어촌계에 해안가의 자원을 채취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오래전부터 어촌계는 마을 지역 주변 해안가에 다양한 생물 자원을 채취하면서 수익을 얻었다.

신안군 안좌도 낙지목장 모습./김재은 교수 제공

최근에는 충분한 수확이 나오지 않으면, 조개의 경우는 종패(種貝)를 뿌려 일정하게 성장하면 채취하는 형태의 기르는 어업이 활성화되기도 한다. 신안군 안좌도의 경우는 낙지 목장을 설치하여 낙지 자원을 보호하고 어획량을 늘리기 위하여 갯벌을 목장처럼 운영한다. 신안군의 여러 낙지 생산지역에서 외부 어업인에 의해 낙지가 남획되는 사례가 늘고 낙지 채취량이 감소하면서 자원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낙지 목장을 설치하게 된 것이다.

최근 우리가 아는 것처럼, 바다는 매우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연안은 침식되어 우리가 알던 해안과 바다가 더 이상 아니다. 바다속의 변화는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다. 어떤 생물들이 늘어나는지 또는 줄어드는지 쉽게 알 수 없다. 또한 어떤 생물이 줄었다면 원인을 찾기에 바쁘다. 특히나, 잠깐 방문한 사람들이면 더욱더 알 수 없다. 어떤 생물이 왜 줄었는지, 바닷속의 상황은 어떤지 알기가 매우 어렵다.

지난 11월 22일 한 방송사 뉴스에서 제주도 앞바다에 본 적 없는 물고기와 산호를 소개하면서 수온 상승을 원인으로 꼽았다.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쉽게 알지 못한다. 바닷속에 들어갈 수도 없는 상황이고 어떤 물고기가 살던 종인지 아닌지도 일반인들은 잘 알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그 지역에 원래 어떤 생물종이 어떤 정도의 규모로 사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1968년 미국의 생물학자 개릿 하딘(G.J. Hardin)이 유명학술 저널인 사이언스에 논문을 실으면서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개념을 설명하였다. 이 개념은 자원의 소유와 관리가 공공재일 때는 황폐화될 가능성이 크지만, 사유화가 되면 관리와 통제를 통해 자원 관리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해 200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학자인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은 공공의 자산이 다수의 경제 주체들에 의해서 어떤 방법으로 성공적인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이 학자는 전 세계 여러 사례를 통해 천연자원을 잘 관리하면서 생태계 파괴를 억제하는 주체가 국가 통제가 아닌 사회적 시스템이 존재하고, 이것은 인간과 생태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잘 조직된 개인들 모임이 공유재를 잘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어촌계의 해녀들이 개릿 하딘의 공유지의 비극이 아닌, 엘리너 오스트롬이 주장한 것처럼,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스스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시스템을 통해 공유재의 비극을 넘어설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이다. 해녀뿐만 아니고 마을의 어장을 공동관리하는 어촌계는 주변 지역에 대해 누구보다도 더 잘 알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어촌계에서는 채취할 시기에 충분히 자라거나 채취할 양이 되지 않으면 채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지역에 살지 않으면 자원의 양은 얼마인지 얼마나 생육이 좋은지 나쁜지 알 수 없다. 물론 모든 어촌계가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어촌계에서는 내일을, 내년을 미래를 생각하고 다 가져가지 않는다.

과거 해루질은 지금으로 말하면 아마도 어촌계에 속한 사람들이 했을 것이다. 교통이 좋지 않아 멀리 갈 수 없었을 테고, 기술이나 기구가 잘 발달하지 않아 능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쉽게 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교통이 발달되어 멀리서도 올 수 있으며, 해루질을 할 수 있는 기구나 기술이 발달하고, 인터넷이나 유튜브 같은 곳에 채취 방법도 쉽게 알 수 있으니 과거의 해루질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물론 우리나라의 연안을 국민 모두가 즐기고 향유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좀 더 오랫동안 안전하게 누리기 위해서 현명한 이용 방법을 서로가 고민해야 할 것이다.

글·사진/김재은(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정리/김우관 기자 kwg@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