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의 청렴도가 마치 백년하청(百年河淸·백년을 기다린다 해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처럼 흐리기만 하다. 시·도는 해마다 부패취약분야 개선 등 맞춤형 반부패 청렴시책을 강력 추진하고 있으나 ‘백약이 무효’다. 각종 공사 등 비리에 연루되는 공직자가 발생하지 않아야 청렴도가 높아질 수 있어 구성원 각자가 뼈를 깎는 각오로 청렴의무 실천에 적극 나서야 한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해 12월 28일 발표한 전국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광주시는 전년도보다 1등급 떨어진 3등급, 전남도는 2등급 떨어진 4등급을 각각 받았다. 광주시는 청렴체감도에서 전년도와 같은 3등급을 받았다. 하지만 청렴노력도에서 2등급 떨어진 3등급을 받으면서 종합청렴도가 한 단계 내려갔다. 전남도는 청렴체감도 2등급, 청렴노력도 1등급씩 내려가 두 항목 모두 4등급으로 분류되면서 두 단계나 떨어졌다.

광주시는 2020년 최하위 등급인 5등급에서 2021년 3등급으로 상승했으나 이번에 2021년 수준으로 다시 하향했다. ‘청렴해피콜’ 운영과 간부공무원 청렴토론회 등이 효과를 보지 못했다. 전남도는 2020년 4등급, 2021년 3등급 등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결국 2020년 수준으로 추락했다. 김영록 지사를 단장으로 4개 분야 26명으로 구성된 청렴윤리경영회의 개최, 청렴 실천 다짐 결의문 등이 수포로 돌아간 셈이다.

전남도는 청렴도 추락 원인을 외부체감도 분야에서 사무관리비 자체감사 영향으로 전년도에 비해 낮게 평가된 것으로 분석했다. ‘2024년 우수기관 도약’을 목표로 내부 및 외부 체감도 향상 등을 위해 세부적인 대책도 발표했다. 하지만 광주시는 아직까지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빠른 시일내에 구체적인 청렴도 종합시책을 제시하길 바란다.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