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전문가 참여…AI 뉴딜추진위 회의
메타버스 기반 교육환경 조성 등 제안

광주광역시가 광주형 AI 3대 뉴딜 2단계 도약을 위해 힘을 모은다.
광주시는 26일 조환익 위원장 주재로 광주 AI뉴딜 추진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위원 및 전문가와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지난 7월 이용섭 시장과 조환익 전 한전사장을 공동위원장으로 출범한 광주 AI뉴딜추진위원회는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그린, 휴먼뉴딜 3개 분과를 운영하며 광주형 AI뉴딜 실행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광주시와 메타버스 정책을 기획해 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장민혁 책임연구원의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육성사업’ 특별발제가 진행됐다.
장민혁 연구원은 “메타버스는 인터넷의 다음버전으로, 미래 초연결 메타월드가 구현돼 또 하나의 지구를 만들며 가상경제의 영역이 확장될 것이다”며 “이를 이용하는 다양한 통합 서비스를 통해 미래 혁신 융합신산업 동반 성장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초연결메타도시 광주를 창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3개 분과에서는 한 달 여간 논의된 정책사업과 미래방향을 공유했다.
위원들은 이 자리에서 광주의 강점을 살리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논의했다.
이유진 광주그린뉴딜총괄정책관은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관련 국회 입법 추진현황과 탄소중립시나리오,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논의 등 최근 정부와 EU 등의 기후위기 대응 최근 동향을 전달했다. 또 그린뉴딜 선도도시 광주에서 탄소발자국을 디지털로 측정하고 평가하고 인증할 수 있는 센터의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길행 디지털뉴딜분과위원장은 코로나 엔데믹시대 시민생활과 밀접한 인공지능 디지털 라이프 구축을 제안했다. 더불어 ‘Fun(즐겁고) Fun(뻔한) 스마트시티, 심각한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 교육환경 조성’과 ‘인공지능 필수 품목인 AI반도체 활용 생태계 조성’을 역설했다.
조환익 위원장은 “한국판 뉴딜 2.0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광주의 움직임이 눈부시다”며 “광주AI뉴딜 성공을 위해 민간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매력적인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만큼 속도감 있는 정책개발에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