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혁신 등 개혁 약속 무색 평가
비공개 공관위 명단 이미 나돌아
일방적인 경선 룰 변경에 파행도
당원명부 유출 등 구조적 문제점

 

더불어민주당이 6·1 지방선거 전남 22개 기초단체장 후보자를 확정한 가운데 당초 공천 혁신 등 약속이 무색하게도 참사 수준의 문제점이 나타나는 등 민심 이반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8일 민주당 전남도당과 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번 전남 기초단체장 경선 과정 초반부터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 패싱, 밀실공천 논란 등을 불러일으키며 ‘공천 참사’를 예고했다는 평가다.

당초 민주당은 공관위원 명단을 비공개했으나, 해당 명단이 일찌감치 나돌면서 일부 후보자들이 공관위원 접촉을 시도하는 등 공정성과 투명성에 큰 오점을 남겼다.

더욱이 공관위에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는 현역 국회의원들이 다수 포함되면서 이들이 경선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는 등 지역위원장들의 처신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김승남 전남도당위원장이 유독 자신의 지역구에 포함된 일부 선거구만 경선 방식을 일방적으로 변경, 추진하면서 또 한번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김 위원장은 유력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공관위 후보자 검증을 건너뛰고 여론조사 방식의 경식을 추진하다 일부 후보들이 경선 보이콧을 선언하는 등 경선이 파행을 겪기도 했다. 결국 장흥군수 경선은 무효화되고 재경선을 치러야 했다.

경선 과정에서는 입당원서·당원명부 유출과 함께 권리당원 이중투표 논란 등 구조적인 문제점도 불거졌다.

목포에서는 경선을 앞두고 당원명부 유출 의혹이 제기돼 전략선거구로 지정되는 등 결국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로 경선이 치러졌다. 특히 해당 논란의 당사자에 대한 조사나 별다른 조치 없이 경선이 치러져 애꿎은 당원들의 권리만 빼앗겼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아울러 여론조사 업체가 통신사 휴대전화요금 청구지 주소를 기준으로 안심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악용해 타지역 주민들이 대거 청구지 주소를 변경, 일반국민 여론조사에 참여하는 등 신종 선거범죄도 나타나 씁쓸한 뒷맛을 남기기도 했다.

일반국민 50%, 권리당원 50% 투표로 이뤄진 경선에서도 권리당원이 일반국민 투표와 권리당원 투표에 모두 참여하는 이중투표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이 때문에 영암에서는 재경선이 치러지는가 하면 순천과 완도 등 상당수 선거구에서 후보자들이 재심을 신청하는 등 잡음이 잇따르고 있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대통령 선거 패배 이후 민주당이 공천 개혁 등 변화된 모습을 다짐했던 만큼 텃밭인 호남에서부터 변화의 바람이 불거라 기대했지만, 경선 과정은 실망 그 자체”라며 “민주당이 끝내 달라진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결국 이번 지방선거에서 지역민들로부터 외면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은창 기자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