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선, 광주·전남 431명 선출
광주 367곳·전남 860곳 투표소
“인물·공약 꼼꼼히 보고 선택해야”

6·1지방선거 선택의 날이 밝았다. 풀뿌리 지방자치를 실현하고 광주·전남 살림을 책임질 지역 일꾼을 뽑는 날이다.

유권자는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 지역 미래 발전과 질 높은 자녀 교육을 도맡을 선량을 선택해야 하는 의무를 짊어진 만큼 적극적 투표 참여가 요구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은 광역단체장·교육감 각 2명, 기초단체장 27명(광주 5명·전남 22명), 광역·기초의원 400명(광주 92명·전남 308명) 등 총 431명이 새롭게 선출된다.

이 가운데 무투표 당선이 확정된 광주 13명·전남 57명 등 총 70명을 제외하면 모두 361명의 당선인이 직접 투표로 가려진다.

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광주 367곳·전남 860곳 등 전국 1만 4천465곳 투표소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코로나19 확진자 투표는 오후 6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한 시간 동안 진행된다. 확진자는 신분증 외에도 확진자 투표안내 문자, 성명이 기재된 PCR-신속항원검사 양성 통지 문자 등을 지참해야 한다.

유권자는 광주 120만6천886명, 전남은 158만98명이다. 앞서 이틀간 치러진 사전투표에서 광주 20만8천569명(17.28%), 전남 49만436명(31.04%)이 투표를 마쳤다.

개표는 투표가 마감된 후 선관위가 투표소별 투표함을 광주 5곳, 전남 22곳 개표소로 옮긴 후 개표작업에 들어간다.

이번 지방선거는 지난 대선과 달리 주민 일상과 밀접한 지방자치를 이끌고 지역 살림을 책임질 동네 일꾼을 뽑는 만큼 우리 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당선된 단체장·교육감은 예산편성 집행권, 인허가권 등 막강한 지방정부 권한을 갖고 있어 이들의 결정에 지역과 아이들의 미래가 달려 있다.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주민을 대변하고 단체장을 견제·감시하는 지방의원의 역할과 책무도 더욱 무거워졌다.

유권자의 선택이 역대 어느 선거보다 더욱 중요해진 이유다.

특히 광주·전남은 이번 지방선거를 치르는 동안 지역 맹주인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파동, 전남지역 일부 후보간 상호비방 등에 따른 혼탁 선거, 역대급 무투표 당선 속출로 지역 정치사에 상흔을 남겼다.

지방자치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인물과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던지는 의식 있는 ‘한 표’가 절실하다.

정치 혐오감에 주권자의 권리를 쉽게 포기하거나 당 깃발만 보고 선택해서는 안된다. 학연, 혈연, 지연에 의존하는 ‘묻지마’ 투표 역시 지양해야 한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