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광역·기초단체장 당선인들이 속속 ‘인수위원회’를 출범하고 있다. 지난해 1월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단체장 당선인들은 공식적으로 인수위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 인수위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1명씩을 포함해 광역단체장은 20명 이내, 기초단체장은 15명 이내로 구성할 수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 당선인은 7일 민선 8기 광주시 준비를 위한 인수위를 출범했다. 김준하(GIST 교수) 위원장과 임선숙(전 광주변호사회장) 부위원장 등 20명으로 구성됐다. 강 당선인은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정부 대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국회 및 다른 지자체와의 협력 등에 대해 잘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인수위는 강 당선인이 제시했던 생애주기별 5대 온종일 돌봄보장, 공익가치 3대(가사·농민·참여) 수당 도입, 생활체육부터 엘리트체육까지 365일 스포츠건강도시 구축, 시민의 일상이 축제와 예술이 되는 도시, 기후행동과 건강도시 광주 등에 대해 더 구체화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또 군공항 이전, 어등산관광단지, 전방·일신방직 개발 등에 대해서도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해법 마련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민선 8기 단체장들이 4년 임기를 잘 수행하려면 인수위가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단체장이 바뀐 광주 서구와 광산구를 비롯한 전남 15개 시·군 당선인들도 속속 인수위를 출범하고 있다. 이들 인수위도 당선인이 업무를 가능한 한 빨리 파악하고 추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기존의 정책이 잘못됐다면 과감하게 궤도를 수정하고, 잘된 정책은 계승·발전시키는 것도 인수위의 과제다.

인수위에 거는 이 같은 기대 못지 않게 우려도 공존한다. 짧은 활동 기간과 제한된 인력에 따른 무용론과 함께 인수위원들이 향후 지자체 요직을 독차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지역 인수위는 낮은 자세로 성실하게 역할 수행에만 전념해 이 같은 우려가 기우에 그치길 바란다.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