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형선 전남대 교수(공학박사)

윤형선 전남대 교수(공학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점차 심화되면서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며 “이에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계 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배출하는 비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사회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파리협정을 통해 사회 전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전 지구적으로 탄소중립을 확보해야함을 촉구했고,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 간 협의체인 IPCC 또한 2018년 1.5℃ 특별보고서와 제6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의 시급성과 모두가 참여해야 할 필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제로가 되는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시민들의 녹색생활 실천으로 생활계 온실가스를 감축한다면, 비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과 더불어 그 파급효과로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며 “유럽 그린 딜과 같은 국외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관련 정책과 전략은 생활계 온실가스와 관련된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도 시민들의 기후변화 대응 인식 제고와 시민들의 녹색생활 실천으로 노력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 정부는 탄소중립을 위한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성장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지난 2020년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마련했으며, 그 내용은 에너지와 산업부문뿐 아니라 수송, 건물, 폐기물, 탄소흡수원과 농축수산 등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부문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환경부는 ‘2021년 탄소중립 이행계획’에 미래 모빌리티, 탄소중립 도시, 건물, 폐기물 제로 순환경제, 농축산, 식품 부문 관리와 같은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된 이행계획을 포함했다”며 “이러한 이행계획의 실질적 이행과 이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참여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그는 “산업혁명이후 배출된 오염물질이 아직도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어 탄소절감이나 온실가스 절감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특히 소규모사업장의 경우 방지시설 등에 전혀 관심이 없다. 따라서 산업계의 대안으로는 RE100이나 ESG경영이 요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리/동부취재본부/허광욱 기자 hkw@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