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한전에 구체적 축소 규모 전달
현실화땐 1천588억원→1천100억원
학교 공사비·운영 자금 확보 어려움
정치권·시민단체 “정치적 탄압” 반발

한국전력이 올해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에 출연하는 출연금을 30% 이상 축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국회와 산업통상자원부, 한전 등에 대한 남도일보 취재 결과 산업자원부와 한전, 발전 자회사 등은 올해 한전공대에 출연하는 출연금 1천588억원 보다 30%이상 줄인 1천100억원 선까지 축소하는 쪽으로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산자부 실무진은 출연금 축소 규모와 관련 “30% 정도 고려중”이라는 입장을 한전측에 구두 전달하며 이에 따른 대비를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전공대 출연금 축소가 정치권과 지역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인 축소 규모가 알려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처럼 출연금이 대폭 축소가 현실화될 경우 개교 2년차인 한전공대는 캠퍼스 공사가 2025년 10월에 완공이 예정돼 있어 공사비와 기본 운영자금 등에 적지 않은 어려움에 봉착할 전망이다.
산자부의 출연금 대폭 축소 방침은 전날 이창양 산자부 장관의 국회 답변에서도 읽혀졌다.
이 장관은 지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한국전력 적자 해소도 중요하지만 한전공대도 중요한 과제’라는 지적에 “현재 한전이 워낙 어려워 전반적인 투자를 효율화해야 한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이해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은 “한전공대 출연금 축소의 구체적인 계획이 있나”라고 물었고, 이 장관은 “한전, 한전공대와 협의하고 있고 이후 재정당국과도 상의하겠다”고 답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자의적으로 축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한 것은 한전공대를 육성하고 지원할 법적 책임이 있는 장관으로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장관은 “한전의 재정이 워낙 좋지 않아 한전공대를 포함한 일반적인 투자, 전반적인 관련 사업을 효율적으로 봐야한다는 의미”라며 “학교 지원이라는 것이 1년 안에 끝나는 것이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또한 ‘면밀한 검토 없는 발언이 지역사회 동요로 이어졌다’라는 지적에 이 장관은 “기본적인 방향”이라며 “줄일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줄여서 다음으로 넘겨야 하는데 그것을 정부책임자로서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물러서지 않았다.
한전공대 지원이 축소되고 의혹이 계속되면서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되자 정치권과 지역사회에서는 반발의 목소리가 거세다.
더불어민주당은 신정훈 의원 등 지역출신 국회의원들은 물론 당 지도부 차원에서 연일 성토 중이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시·도의회, 나주시의회 등 지역 정치권도 “한전공대는 전남도민과 광주시민의 염원을 담아 설립했다”며 “산업부의 출연금 전면 재검토는 시·도민에게는 정치탄압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고 강한 우려감을 나타냈다.
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25일 한전공대 탄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경실련은 “최근 감사원은 한국에너지공대 설립에 대한 문재인 정권의 특혜설을 흘리며 대대적으로 감사를 했다”며 “이는 한국에너지공대의 설립 취지와 목적을 훼손하는 매우 위험한 행동으로, 정부가 에너지공대 설립 관련 사실을 호도하는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김갑제·임소연 기자 lsy@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