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AI 2단계 예타면제서 예타신청으로 선회
조사대상 선정 등 과정 고려시 최소 수개월 걸려
당초 목표한 사업 착수 시기인 내년 초 넘길 듯
AI 융복합 솔루션 실증지원 등 일부 사업 지속

 

국가AI데이터센터 전경. /광주시 제공

‘광주 인공지능(AI) 중심도시 조성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AI 1단계 5개년 사업종료와 함께 2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추진했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가 불투명해지자 시가 기조를 바꿔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사업의 전체 속도가 느려졌기 때문이다.

4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광주 ‘AI 실증 밸리 확산사업(AI 2단계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기획재정부에 냈다.

그동안 광주시는 AI 2단계 사업의 가치와 의미를 언급하며 예타면제를 적극 추진해왔다. 하지만 예타면제에 대한 각 중앙부처의 판단이 길어지고, 이로인해 사업이 지연되자 사업 연속성을 지속하기 위해 예타신청으로 입장을 급선회했다는 것이 광주시 측 설명이다.

문제는 예타신청을 서둘러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조사 대상 선정 등 과정을 진행하는데 최소 수개월의 기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광주시가 당초 목표로 한 사업 착수 시기인 ‘내년 초’는 넘길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경우 규정상 오는 9월 재 신청을 해야하는데 이럴 경우엔 사업 착수 시기는 더욱 늦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광주시는 만약 2단계 사업이 지연되더라도 AI 융복합 솔루션 실증지원, AI 데이터센터 컴퓨팅 자원 및 실증장비 기업 지원 등 개별사업들은 이미 예산이 반영돼 있는 만큼 기존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연말 국회심의가 종료될때까지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력해, 내년 국비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복안도 세웠다.

이상갑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예타신청 시기를 현재보다 조금 더 빨리 추진했다면 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예타면제를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 예타면제를 재 추진할 수도 있는 만큼 여러 상황을 열어놓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AI 2단계 사업은 AI인프라 및 지원체계구축(2천7억원), AI실증 혁신 생태계 조성(1천393억원), AI 융복합 실증 및 사업화 지원(2천600억원) 등 총 6천억 규모로 진행된다. 사업기간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이며, 인공지능 실증도시 광주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혁신 밸리 조성이 목표다.
/심진석 기자 mourn2@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