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시민단체와 공동 건의문 마련
기부대양여 아닌 국가재정사업 전환
군 비행훈련센터 해외 이전
종전부지 무상양여 등 요구

 

광주상공회의소 전경.

한상원 광주상공회의소 회장은 최근 대통령실을 방문해 지역 최대 현안인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요청했다고 22일 밝혔다.

한 회장의 이번 대통령실 국토교통비서관 면담에는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광주대, 광주여대, 동신대와 5·18 3개 공법단체, 시민단체 등 11개 기관이 공동으로 마련한 지역사회의 핵심적 요구사항인 ▲현행 기부대양여 방식이 아닌 국가재정사업으로 전환 ▲소음 피해 최소화를 위한 군 비행훈련센터의 해외 이전 ▲종전부지의 광주광역시 무상 양여 등을 담은 건의문을 전달했다,

광주상의는 건의문을 통해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및 ‘광주 군 공항 이전 및 종전부지 개발 등에 관한 특별법’ 등에 근거해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건설사업 사례에서 드러나 듯이 기부대양여 방식으로는 재원 마련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다"며 "광주 군공항의 국가안보적 중요성과 장기간 누적된 지역의 개발 제한의 피해, 국가균형발전의 필요성을 고려해 정부 주도의 재정사업으로 전환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상의는 이어 광주 군공항은 정식 군사작전을 위한 전투비행보다는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지의 성격이 강한 탓에 소음 피해 절감 등을 위한 조종사 훈련센터의 해외 이전을 건의했다.

실제 광주 군공항의 지난해 이착륙 횟수는 9천100여 회에 달한다. 이 가운데 약 97% 수준인 8천800여회가 조종사 훈련과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과거 이명박 정부 시절에도 군 비행훈련센터의 해외 이전이 국정과제로 검토된 바 있으며, 해외 훈련시 전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조종사 양성이 가능한데다 소음으로 인한 갈등 역시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상의는 종전부지를 광주광역시에 무상 양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 광주상의는 "1964년 국가의 수용 이래 광주 군공항 부지 및 주변지역은 반세기가 넘도록 도심 내 안전사고의 위험과 고도제한이라는 울타리 속에 갇혀있다"며 "종전부지의 무상양여를 통해 국가가 책임을 다하는 것이, 광주시민의 이런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자 국가균형발전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상원 광주상의 회장은 "광주 군공항의 이전은 단순한 지역의 민원이 아니라 국가 안보시설의 재배치, 국민 삶의 질 회복, 정의로운 국가 책임 실현이라는 세가지의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중대한 국가 현안"이라며 "군공항의 이전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광주와 전남이 상생하고 미래 세대들이 희망을 품고 지역에서 그 꿈을 펼칠 수 있는 도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석 기자 yskim@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