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산업-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협약
2019년부터 1년 9개월간 100곳 맞손
61개사 광주서 둥지… 242명 근무
빅데이터·헬스케어·車 등 ‘다양’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0일 오전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아주산업,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광주형 인공지능 비즈니스 100번째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유재형 아주산업 지주부문 대표이사, 최진민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 박명애 AI유치기업협의회장 등 내빈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 관련 기업·기관 100곳을 유치하면서 인공지능(AI)선도도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광주시는 2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아주산업,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광주형 AI 비즈니스 기반 조성을 위한 100번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아주산업은 최근 계열사 코크넷나인을 통해 AI 기반 서비스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의 기술 조직 AI 랩이 분사했으며 인공지능 기반 기업형 서비스와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이다.

광주시는 지난 2019년 10월 인코어드 P&P를 시작으로 1년9개월여 만에 100번째 업무협약을 달성했다.

기업 92개, 관련 기관 또는 협회가 8개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0일 오전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아주산업,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광주형 인공지능 비즈니스 100번째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유재형 아주산업 지주부문 대표이사, 이 시장, 최진민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 /광주시 제공

분야별로는 빅데이터 32개, 헬스케어 18개, 육성지원 12개, 보안 8개, 자동차 7개, 로봇·드론 5개, 음성인식과 자연어 처리 3개, 에너지 2개, AI 융복합 등 기타 13개다.

한국지능정보산업협회가 발표한 AI 유망 100대 기업 중 미소정보기술, 스프링클라우드, 이스트소프트, 아크릴, 솔트룩스, 애자일소다, 크라우드웍스, 클로봇 등 8개가 포함됐다.

본사를 이전한 9개를 포함해 30개 사가 법인을 설립하는 등 모두 61개 사가 광주에 사무실을 개소했다.

근무 인원은 242명으로 광주 AI 창업캠프(19개), 아이플렉스(9개), 광주 테크노파크(7개) 등에 둥지를 틀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100번째 업무협약은 AI 중심도시 광주의 새로운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유망 기업들과 손잡고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 데이터 플랫폼 구축, 인재 양성, 공공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이 일상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는 AI 사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광주시는 AI 산업 육성 1단계인 2024년까지 300개 이상 기업을 유치해 1천명 이상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정세영 기자 jsy@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