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 통합관리기구 설립 절실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한국갯벌’의 보전을 위해서는 전남을 비롯한 유산구역에 해당되는 충남과 전북을 함께 아우르는 통합관리기구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전남연구원은 16일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의 의미와 과제’ 발간을 통해,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갯벌의 약 95%를 차지하는 전남의 역할과 그 의미를 조명하고, 세계유산이 지향하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보전 및 이용전략 수립을 제안했다.
세계유산 ‘한국의 갯벌’은 그동안 ‘습지보전법’에 기초해 보존·관리돼 왔다. 과거 ‘습지보호지역’, ‘람사르습지’, ‘생물권보전지역’,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등으로 국내·외에서 주목받은 바 있다.
특히 전남의 갯벌은 어촌계, 자율어업공동체 등이 주축이돼 꼬막, 바지락, 낙지, 김 양식 등이 이뤄지는 공동 어업 공간으로 경제활동과 함께 보전도 반드시 고려돼야 할 유산이다.
김준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한국 갯벌의 보편적 가치를 지속시키기 위한 모니터링과 지역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식증진이 요구되며, 유산구역에 해당되는 지역과 함께 이해당사자를 아우르는 통합관리기구 설립 및 통합된 정책추진을 위한 갯벌보전기본계획을 법정계획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한국의 갯벌’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우리 갯벌의 가치를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는 동시에 그 가치를 미래세대에게 물려줘야 할 의무도 갖추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등재 과정에서 세계유산위원회가 권고하는 유산의 ‘완전성’을 위해 보성·순천갯벌을 포함한 여자만, 습지보호지역 무안 갯벌을 포함한 함해만, 신안갯벌 인근 탄도만갯벌 등 유산구역 확대가 필요하며,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가로림만이나 철새의 서식지로 세계에 알려진 강화갯벌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박지훈 기자 jhp9900@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