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타고 전남 넘어 제주로…실현 가능성은?
金 지사, 서울∼제주 고속철 재점화
2007년 첫 제안 이후 15년째 답보
반대 제주 설득 관건, 수요조사 필요
“연결시 초광역경제권 시너지 기대”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설 이전 15년째 답보 상태인 서울∼제주 KTX 고속철 사업의 대통령선거 공약 반영을 제안하면서 사업 추진이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남도는 서울∼제주 고속철 사업을 통해 해저터널로 전남과 제주가 연결되면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역 발전에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 내 반대 여론이 거세 대선 주자들이 공약에 반영할지 미지수여서 서울∼제주 고속철 사업이 이번에도 뜬구름에 그칠지, 블루 이코노미에 이은 전남 대표 정책사업이 될지 지역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李 언급에 金 지사 발빠른 공약 제안
김영록 전남지사의 서울∼제주 KTX 고속철 대통령선거 공약 반영 제안은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지난달 23일 서울∼제주 고속철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사업 추진의 실마리가 생겼기 때문이다. 블루 이코노미에 이은 미래 신성장 동력이 필요한 전남의 입장에서는 전남과 제주를 해저터널로 잇는 서울∼제주 고속철은 실현시 이른바 ‘대박’에 가깝다는 평가다.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이 많이 찾는 제주도와 육로로 연결될 경우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물론 서울∼제주 고속철도를 기반으로 남해안과 제주도를 연계하는 신경제권이 조성되고, 남해안과 제주가 국가균형발전의 새로운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복안이다.
김 지사는 지난달 26일 “서울∼제주 고속철 건설이 제20대 대통령 공약으로 꼭 채택돼 해양과 대륙 간 교류 중심축으로 도약하고, 대한민국 미래 백년대계의 힘찬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공약 반영을 촉구했다.

◇“관광·경제에 막대한 시너지”
전문가들은 서울∼제주 KTX고속철 연결시 경제·관광 분야에서 전남지역에 막대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김현철 광주전남연구원 연구기획실장은 2일 “코로나19 여파로 관광객 유입이 미진한 상황이긴 하지만 제주도는 명실공히 세계적인 관광지”라며 “관광객들이 비행기 타고 제주도에 가서 관광이 거기서 끝나버리는데, 열차가 연결되면 기후조건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블루 투어라는 전남도 관광정책이 제주도 관광정책과 융합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실장은 “이 사업 자체가 180㎞를 철도로 연결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건설경제로 인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엄청날 것”이라며 “또 현재 계획대로 완도 보길도∼추자도∼제주도를 잇는 해저터널이 완공될 경우 대한민국의 기술력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는, 국가브랜드 측면에서도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그는 “유로스타 터널로 연결된 영국과 프랑스는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가 활발했고 이는 EU 공동체의 발판이 됐다”면서 “전남과 제주도가 연결되면 여러 분야에서 교류가 활발해질 수밖에 없어 초광역경제권을 통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주도 반대, 정치권 역량 모아야
서울∼제주 고속철 사업의 대선 공약 반영과 사업 추진을 위해선 제주도의 반대를 넘어서야 한다. 전남과 제주가 해저터널로 연결되면 제주도가 섬이라는 고유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주에서는 제주 신공항 건설이 확정된 뒤 서울∼제주 고속철 사업에 대한 관심이 아예 가라앉은 분위기다. 이재명 후보의 서울∼제주 고속철 검토 발언에 제주 정치권이 거칠게 반발한 것도 제주 민심을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당시 국민의힘 제주도당은 논평을 내고 “제주도민을 우롱한, 표만을 의식한 공약으로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며 공약 철회와 사과를 이 후보에게 요구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서울∼제주 고속철 사업이 이번에도 공염불에 그치지 않으려면 제주도를 설득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 실장은 “전남과 제주,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사업이니 만큼 지역민들의 입장을 들어봐야 한다”면서 “제주도 내 수요조사를 통해 현실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도 “지역 발전은 물론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도 중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지역 정치권이 나서 제주도를 설득해 사업 추진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서부취재본부/이은창 기자 lec@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