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공항 이전 등 후보시절 공약
이행 통해 지역 발전 마중물로
국정과제 채택…사업 속도내야

제20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인 9일 광주광역시 북구 태봉초등학교에 마련된 용봉동 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대한민국 미래를 책임질 제20대 대통령이 선출되면서 후보 당시 약속한 광주·전남 공약 이행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발전을 앞당길 미래 먹거리와 대규모 프로젝트가 차질 없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공약을 넘어 새 정부 국정과제 채택이 절실하다.
9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시·도가 발굴해 건의한 사업 중 일부가 20대 대통령 당선인 공약으로 수용됐다.
광주시 대선 공약은 군공항 이전 종전부지 그린스마트 펀 시티 조성, 광주인공지능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및 인공지능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육성, 광주-대구 달빛고속철도 임기 내 조기 착공(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미래자동차 융합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아시아 문화콘텐츠 허브시티 조성 등 6개 사업이다.
지역 최대 현안인 군공항 이전 사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전남도 관련 공약은 우주산업·신재생에너지산업·농수축산업·바이오산업 육성, 광양항만 육성, 교통 인프라 확충 등을 받아들였다.
대통령 당선인이 확정되면서 광주시와 전남도의 발걸음은 더욱 분주해졌다. 양 시·도는 이미 반영된 사업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총력을 벌일 방침이다.
특히 공약으로 제외된 사업에 대해서는 인수위 단계서 추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
시·도 핵심 사업 중 공약으로 반영되지 않은 사업들은 상당수에 달한다.
특히 광주의 경우 ‘빛고을 스마트 메가시티’ 조성, 지능형 공기 신산업 특화단지 조성, 국가김치문화산업단지 조성, 호남권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및 초지능형 스마트병원 구축 등이 제외돼 아쉬움을 줬다.
시·도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역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마중물’격 정책이 시행돼야 한다고 보고 다각도의 설득 논리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민 역시 대통령 당선인과 차기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군공항 이전 등 지역 현안이 국가사업화돼 수 년간 갈등의 벽을 넘어 지역발전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20대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광주·전남 발전을 위한 대선 공약 이행 여부에 벌써부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며 “차기 정부에 대한 시·도민들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정세영·이은창 기자 jsy@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