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가 10일로 22일 남겨둔 가운데 이번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독식구도가 재현될지 관심을 모은다. 그러나 민주당 심장부인 광주·전남지역 문제만은 아니지만 특정 정당 독식구도가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에 결코 도움을 줄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이번 선거에서 광주 99명, 전남 332명 등 총 431명(광주·전남교육감 포함)의 일꾼이 선출된다. 이들은 오는 7월 1일부터 4년간 지역을 이끈다. 하지만 지금까지 치러진 일곱 차례의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 광역단체장은 민주당이나 민주당 전신 정당 후보가 싹쓸이했다. 광주 기초단체장의 경우 단 3명의 무소속 후보(1명은 재선거 당선)를 배출하는 데 그치는 등 비(非) 민주당 후보에겐 넘을 수 없는 벽이었다. 전남 기초단체장도 제6회 지방선거(2014년 6월 4일)에서 민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 경선 불복 등을 내세워 무소속 8명(36%)이 당선되면서 ‘무소속 돌풍’을 일으켰으나 당선 후 일부가 복당하는 등 사실상 특정 정당 독식구도는 깨지지 않았다. 광역 및 기초의회까지 민주당과 민주당 전신 정당 후보들이 대거 입성하면서 집행부에 대한 감시·견제 기능을 상실했다. 심지어 ‘집행부 거수기’로 전락했다는 비난까지 받았다.
이번 선거에서도 ‘민주당 공천=당선’이란 꼬리표를 떼지 못하면 온전한 지방자치 및 지방분권을 이룩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도 만만치 않다. 결국 정당보다는 인물과 공약·정책을 꼼꼼히 살펴본 뒤 지역 상생발전 적임자를 선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게다가 5년 만에 정권을 넘겨준데다 ‘여소야대(與小野大)’정국에서 국회와 중앙 정부의 협력과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단체장과 광역 및 기초의원도 절실한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