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과동 매립장 2-1공구 포화 상태
정부, 2030년부터 직매립 금지에
공사중 2-2는 사용기한 8년 감소
나주SRF 주민반발로 비정상적
대체 시설 확보도 쉽지 않을 듯
“지역사회 공론화로 해법 모색”

 

광주광역시청 청사 전경. /남도일보DB

광주에서 ‘쓰레기 대란’이 닥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하루 1천여t의 생활쓰레기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를 처리하는 매립지가 조만간 포화 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 방침에 따라 2030년부터 생활쓰레기 직매립까지 금지되면서 ‘갈 곳 잃은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 방안과 대안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지역내 일일 생활쓰레기 배출량은 모두 1천152t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전체 40%에 달하는 466t이 양과동 매립장 2-1 단계 공구(孔口)에 매립된다. 나머지 38t은 2곳의 민간 소각장에서, 648t은 각각 재활용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다

현재 2-1단계 공구는 쓰레기가 거의 다 채워진 상황이다. 당초 2027년까지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지만 내년 2월이면 포화 상태에 이를 전망이다. 더구나 올 연말 완공예정인 2-2 단계 공구의 사용기한은 2029년로 줄어들었다.

광주시는 2037년까지 사용할 계획으로 2-2공구 조성에 나섰으나 정부가 지난해 7월 폐기물관리법 시행 규칙을 공포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2030년부터 종량제 봉투로 배출된 생활폐기물을 선별 또는 소각 없이 직매립하는 행위를 금지하면서 사용기한이 8년이나 당겨졌다.

대안으로 생각하던 나주SRF(열병합발전소) 활용은 혁신도시 주민 반발로 정상운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2-2 단계 공구가 운영되더라도 10년 안에 쓰레기 대란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이에 광주시는 4천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도시 외곽지역에 공공 소각장 건립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루 평균 600t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공공 소각장은 2030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시는 경기도 하남과 평택, 충남 천안에서 운영되고 있는 소각장을 벤치마킹해 지하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저도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대표적인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소각장 설치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가 예상되고 있어서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 2000년 9월 상무지구에 공공 소각장을 건립해 운영한 바 있다. 이후 소각행위로 인한 유해물질 배출 논란이 일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지속돼 광주시는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겨진 2016년에 전면 폐쇄했다. 양과동 매립장도 조성과정에서 인근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혀 고재유 시장이 계란을 맞는 등 홍역을 겪은 바 있다.

환경 전문가들은 생활쓰레기 처리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합의와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소각장 입지 문제를 논하기에 앞서 쓰레기양 자체를 줄인 후에 입지 문제를 논해야 한다”며 “지자체와 시민사회 등 지역 구성원들의 협의와 공론화를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공공 소각장 건립과 관련 올 하반기 용역을 발주해 사업 타당성 등을 검토할 방침”이라며 “시민들의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과 생활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에 적극 동참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박정석 기자 pjs@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