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올해 상반기 신설을 추진 중인 재외동포청 최적지임을 내세워 조만간 유치를 공식 표명할 예정이다. 시는 재외동포 정착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보여준 포용과 풍부한 경험, 네트워크 등을 강점으로 부각해 광주에 재외동포청을 유치할 계획이다.
앞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16일 재외동포청 신설 등이 포함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정부조직법은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오는 24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다. 정부조직법이 통과되면 재외동포청 신설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의 후보시절 대선 공약 중 하나인 재외동포청은 현재 법부무, 외교부, 병무청 등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는 영사·법무·병무 등 재외동포 민원 업무를 일원화해 제공한다. 외교부 소속으로 전 세계 193개국 732만 명(2021년 기준)에 이르는 재외동포를 관장, 재외동포 관리 및 네트워크 강화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광주시를 비롯해 제주도와 경기 안산시가 재외동포청 유치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전 세계 고려인 동포들과의 네트워크, 지역에 구축된 다양한 인프라 등을 강점으로 꼽고 있다. 재외동포청이 들어서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주·인권·평화도시’로서 위상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군다나 본보와 광주시의회가 지난해 10월 공동 개최한 ‘우크라이나 난민보고서-고려인 광주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역할과 과제’ 토론회에서 재외동포청 유치 필요성이 제기돼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당시 주제발표를 맡은 김재기 전남대 교수는 광주에 정착 중인 7천여 명의 고려인을 토대로 정부가 추진 중인 재외동포청 광주 유치를 제안했다. 이후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광주시도 적극적인 검토에 나서 유치 성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