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지역 ‘통큰’ 지원 내용 없고
민간 공항 논의 다음으로 미뤄져
시·도 공동설명회 추진 합의만
군·민간 공항 이전 시각차 여전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직접 만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논의했지만 ‘속 빈 강정’ 합의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기대와는 달리 이전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책 마련도 없었고, 광주 민간 공항 이전 문제에 대한 논의 역시 다음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강 시장과 김 지사는 10일 오후 3시 김대중컨벤션센터 1층 VIP 2실에서 ‘광주 군공항 이전 관련 협의’를 진행했다. 지난달 13일 광주 군공항 이전 특별법 국회 통과 후 27일만으로, 지역 현안 논의를 위해 양 시장·지사가 만난 것은 지난해 7월 28일 광주·전남 상생발전 위원회 이후 처음이다.
이날 양 시도지사는 당초 1시간의 비공개 회동을 통해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에 대한 지원책 등을 협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계획보다 논의가 길어져 2시간가량 진행됐다.

회의에서 양 시·도지사는 ▲광주시와 전남도는 현장의 의견을 청취해 이전사업에 대한 지원 확정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소음 지원 이주대책 협의해 유치대상 지역에 설명회 공청회 적극 추진한다 ▲민간 공항 문제는 별도 논의한다 등 3가지 원칙으로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정작 이전 지역에 대한 ‘통 큰’ 지원책이 나오지 않고, 민간 공항 문제는 추후 별도로 논의하기로 하면서 사실상 두 시·도지사의 만남이 빈손으로 마무리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 시장은 “광주시와 전남도가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에 대해 3가지 원칙으로 추진하기로 협의했다”며 “이전 지역에 대한 지원과 소음문제 해결방안 등에 대해서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오늘 회의에서 나온 내용 이외의 것들은 가능한 빨리 만나서 이야기할 것이다”며 “아울러 실무 협의체를 통해서 자세하게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면담에서는 군공항 이전을 위한 공청회 등 절차 추진과는 별개로 민간 공항 이전 문제에 대한 뾰족한 합의도 없었다. 특히 광주시와 전남도가 민선 7기 당시 상생 차원에서 맺은 ‘민간 공항 이전 약속’도 무위로 돌아갔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그 협약은 민간 공항을 우선해서 전남도에 보내면 군공항 문제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취지의 내용이었다”며 “하지만 그 뒤로 광주에서 군공항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민간 공항을 보낼 수 없다는 입장이 나와 파기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그동안 양 시·도는 광주 군 공항과 민간 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시각차를 드러냈다.
광주시는 군 공항과 민간 공항 이전을 분리해서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남도는 광주시와 민간 공항을 먼저 무안으로 이전하고 군 공항 문제를 해결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피 시설인 군 공항을 넘겨야 하는 광주시, 민간 공항 이전을 우선 바라는 전남도 등 엇갈린 이해관계 속에 시장, 지사가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데 의미를 부여하는 시각도 있다.
이에 대해 양 시도지사는 “지역 최대 현안 중 하나인 공항 이전 해법을 도출하는 데 필수적인 시도 간 긴밀한 소통의 첫 걸음”이라며 “앞으로 더 자주 만나 상호 신뢰 속에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다란 기자 kdr@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