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추모제·추모식
유족회 주관 5·18 3단체 등 참석
“5월 정신 토대로 국민대통합” 다짐

헌화하는 유가족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추모제에 유가족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임문철 기자 35mm@namdonews.com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는 1980년 5월을 잊지 않기 위한 추모 열기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었다.

이날 민주묘지에선 43주년 5·18민주화운동 추모제·추모식이 열렸고 문재인 전 대통령과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고(故) 전두환 손자인 전우원씨, 학생 등 각계 인사도 참배에 동참하며 추모에 열을 올렸다.

이날 열린 추모제·추모식은 1부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제례, 놀이패(만월)공연과 2부 추모식으로 나눠 진행됐다.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시낭송 퍼포먼스’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이현행 기자

1부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제례는 초헌·아헌·종헌 3분류로 진행됐다.

초헌은 양관석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전라남도지부장, 아헌은 황일봉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장, 종헌은 정성국 5·18민주화운동공로자회장이 맡았다. 이후 놀이패 만월의 풍물 공연도 30분간 열렸다.

2부 추모식은 개식선언, 국민의례, 내빈소개, 추모사, 인사말, 추모시 낭송,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헌화 및 분양 순으로 진행됐다.

행사를 주관한 양재혁 5·18민주화운동유족회장은 “헌법에는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이 담겨있듯이 이제는 5·18정신을 하루라도 시급하게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한다”며 “5·18정신 헌법수록은 모든 국민이 합의한 내용이고 절차적 문제로 시간이 걸릴지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이뤄질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5월 정신을 토대로 국민 대통합을 이루고 국가적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민주주의의 꽃을 피울 때 5월 영령들께서도 편히 눈을 감고 억울한 희생을 자랑스럽게 여기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박승현(16·여) 각화중학교 학생회장은 “후세대로서 5.18정신을 기억하며 실천하는 학생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현행 기자

이날 북구 각화중학교 학생 300여 명도 ‘오월길 대행진’ 행사를 진행하며 민주묘지에 참배했다.

각화중학교 학생들은 자신이 직접 만든 5·18정신계승 배번을 부착하고, 장등마을에서 5·18민주묘지까지 걸으며 민주주의와 평화의 5·18정신을 체득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고(故) 김경철·박금희·문재학·윤상원 열사 등이 묻힌 곳을 둘러보며 5·18 희생자를 추모했다.

박승현(16·여) 학생회장은 “5·18민주화운동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 위해 민주주의를 당당히 세상 밖으로 외쳤던 광주시민, 우리의 역사적인 사건”이라며 “후세대로서 5·18정신을 기억하며 실천하는 학생들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현행 기자 lhh@namdonews.com
 

당신을 위한 추천 기사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