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날씨 발사 지장 없을 듯
발사 예정시간 오후 6시 24분
실용위성 싣고 실전 역량 검증

실용위성을 싣고 실전역량 검증에 나서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 준비 작업이 사실상 완료됐다.
23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33분께 누리호는 발사대에서 하늘을 향해 수직으로 기립했다.
누리호는 이날 오전 1.8㎞ 거리의 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송된 뒤 2시간 여 만에 기립을 마쳤으며, 오후에는 산화제와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공급용 케이블 ‘엄빌리컬’ 연결 작업이 이뤄졌다.
과학기술정통부는 이날 오후 8시께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작업이 제대로 됐는지와 기상 상황 등을 토대로 발사 여부를 결정한다
이어 발사일인 24일에는 발사 준비상황과 기상 상황 등을 종합 점검해 발사 시각을 결정할 예정이다.
기상청은 24일 오후 누리호가 발사되는 고흥 나로우주센터 일대에 바람이 잔잔하게 불고, 강수 확률도 20% 아래로 낮을 것으로 보여 발사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종 발사가 결정되면 누리호는 연료를 주입하고, 발사 10분 전 관제 시스템이 자동으로 발사 준비를 시작한다.

누리호 발사 예정시간은 이날 오후 6시 24분이다. 발사 가능시간은 예정시간 전후 30분으로, 오후 5시 54분부터 오후 6시 54분 내에 발사가 이뤄진다. 만약 이 1시간을 놓친다면 발사 예비기간인 오는 25~31일 중 같은 시간대에 재도전에 나서야 한다.
1·2차 발사 당시 오후 4시대였던 발사 시간이 2시간 가량 늦춰진 것은 누리호 3차 발사에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탑재됐기 때문이다.
레이더영상 탑재체 때문에 많은 전력이 필요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항상 태양빛을 받으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누리호 발사시간이 조정됐다.
누리호는 발사 13분 3초 후 목표 궤도 550㎞에 다다르면,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비롯해 위성 8기를 20초 간격으로 차례로 목적지로 떠나보내는 가장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는 “위성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이번 3차 발사는 누리호가 더이상 시험이 아닌 실전에 돌입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은창 기자 lec@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