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광주상의 잇단 성명 발표

 

광주시의원들이 20일 시의회에서 미래자동차 소재·부품·장비산업(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을 촉구하고 있다. /시의회 제공

미래자동차 소재·부품·장비산업(소부장) 특화단지를 광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시의회 소속 의원 23명은 20일 공동성명을 통해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强)을 위한 첫 걸음은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광주 지정’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성명에는 정무창 의장과 심철의·이귀순 부의장 등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22명과 국민의힘 김용임 의원이 모두 동참했다.

시의원들은 “미래차 산업으로의 전환은 국가제조업 혁신과 공급망 생태계 강화가 매우 중요하고, 특히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확보가 핵심”이라며 “광주를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하는 것이야 말로 정부의 비전인 자동차산업 글로벌 3강 진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의원들은 “이를 기반으로 광주형 친환경 소재부품 산업을 육성하고, 미래차 부품 제조의 모든 단계를 하나의 사슬로 엮을 수 있다는 점은 소부장 분야의 대외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고 안정적인 자체 공급망 확보로 이어져 미래차하는 국가주력산업을 견인할 것”이라며 광주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광주상의도 이날 성명을 내고 “하남·소촌·평동·진곡·송암·본촌·빛그린산단 등 광주 전역에 자동차산업 생태계가 조성돼 있고, 완성차 업체는 물론 부품기업들 또한 미래차로의 전환을 위한 투자와 기술개발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의 지정이 절실히 필요한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부장 특화단지가 지정된다면 개별 기업과 지자체 차원의 미래차 전환 노력 속에 각종 연구개발과 규제 개선, 세제 혜택, 인력 양성 등 정부 차원의 포괄적이고 집중적 지원이 더해지면서 지역 자동차산업 전체가 발빠르게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지역 경제계는 소재에서부터 완성품에 이르기까지 집적화된 생태계 구축과 고도화 등을 도모하고자 광주시가 추진하는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의 유치를 적극 지지하며,대통령의 공약사항인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 구축’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경제계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광주는 기아차와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자리잡고 있는 연간 72만대 규모의 완성차 생산능력을 보유한 국내 대표 자동차도시 중 한 곳이다. 2개의 완성차 공장을 보유한 곳은 광주가 유일하다.

또 진곡산단을 자율주행차 부품 개발과 생산 거점으로, 빛그린국가산단을 완성차 제조와 인증단지로, 최근 유치한 미래차 국가산단을 자율주행차 실증단지로 각각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성장동력도 갖추고 있다.
/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