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종가 문화 발전·활성화 방안 탐색
“남도 종가만의 독특성·차별성 필요” 강조

지역 종가문화 계승 발전을 위한 ‘2023 전남 종가 심포지엄’이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2023 전남 종가 심포지엄’은 전라남도와 한국학호남진흥원이 공동 주최하고 (사)전남종가회가 주관한 행사로, 종손·종부 등 전남 종가 회원과 학자, 일반 시민 등이 참여해 종가문화 계승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종가 심포지엄은 남도 종가의 위상을 대내외에 알리고 지역 종가 문화 계승 발전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한편,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종가를 보유한 전남 종가의 문화적 다양성과 독특성을 찾아 지역의 문화와 경제 활성화 계기로 삼고자 마련됐다.
이날 심포지엄은 특별 초청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경구 사무총장의 기조발표로 시작됐다. 한경구 사무총장은 ‘인류 문화유산으로서 종가 문화의 의미와 가치’라는 주제로 “종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는 간단히 접근할 사항이 아니며 전체 인류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이재태 전남도의회 의원은 ‘전남 종가 역사 문화 진흥조례 제정의 의미와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 발표로 전남종가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퇴계 종가 차 종손인 이치억 공주대 교수는 ‘종가 문화 계승의 구조와 현상 및 과제’라는 주제로 종가 계승의 어려움을 퇴계 종가 가문 차기 종손이 될 자신이 처한 실제 상황과 경험을 생생하게 발표함으로써 종손과 종부 등 참석한 종가 회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전통 건축문화 연구학자인 조선대 신웅주 교수는 ‘남도 종가의 공간 구성 및 건축의 독특성-종택의 미학과 그 활용’을 남도 종가 현지 조사 자료를 통해 발표했으며, 호서대 정혜경 명예교수는‘종가 음식문화의 특징 및 유용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남도 종가 음식 연구 사례를 알렸다.
심포지엄 이후에는 남도 종가 문화 활성화에 관한 의견을 구하는 좌담회‘석학에게 묻다 - 남도 종가문화 계승과 발전의 길’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좌담회에선 전남 종가 활성화의 의미와 방향에 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전라남도 문화예술과 양국진 과장은 “‘전남 종가 역사 문화 진흥조례’제정을 계기로 향후 추진 될 남도 종가 활성화 사업의 실질적인 방향과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준비한 학술대회”였다고 소개하며 “국내 최고 권위 학자들이 참석해 수준 높은 연구 결과 발표와 토의를 통해 정리된 학술대회 결과를 종가 활성화 정책 수립 및 실행에 적극 반영할 계획”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내용은 전라남도 또는 한국학 호남진흥원·전남종가회 홈페이지에서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희윤 기자 star@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