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올드보이’ 대거 출마 채비
‘藥일까, 毒일까’ 설왕설래 지속
‘돈봉투 연루’ 의원 檢 수사 촉각
‘현역 물갈이론’ 민심 방향 주목

제22대 총선을 8개월여 앞두고 민심을 뒤흔들 굵직한 이슈가 잇따라 터지면서 광주·전남 정가도 술렁이고 있다.
6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현재 광주·전남에선 중진·원로급 전 의원들의 출마를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지역구를 옮겨 해남·완도·진도에 출사표를 던졌다. 진도가 고향인 박 전 원장은 14대 총선에서 민주당 비례대표로 처음 국회에 입성한 후 18·19·20대 총선에서 목포에서 잇따라 당선된 바 있다.
박 전 원장은 지난 4일 광주 북구 장등동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호남연수원에서 열린 광주시교육청 청소년 정치캠프에 앞서 “윤석열 정권에 대항하려면 민주당에 경륜·경험있는 정치인 필요하다”며 거듭 출마 의지를 밝혔다. 박 전 원장이 빠진 목포지역 당내 경선에는 무안·신안에서 18·19대 의원을 지낸 이윤석 전 의원이 출격을 준비 중이다.
6선 의원을 지낸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도 21대 총선 때 서구을에서 낙선한 뒤 다시 이 지역에서 총선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밖에 광산을에서 18·19대 의원을 지낸 이용섭 전 광주시장과 17대 의원(동구)을 역임한 양형일 전 주엘살바도르 대사의 출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여권에서는 새누리당 대표를 지낸 3선 출신 이정현(18·19·20대) 전 의원이 내년 총선을 통해 ‘4선 고지’를 노리고 있다. 이 전 의원은 순천과 광주 출마를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을 바라보는 지역 정가의 시선은 엇갈리고 있다. 여야를 막론하고 ‘변화와 혁신’이 정치권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구시대 인물들이 신인들의 기회를 빼앗아가면서 세대교체에 역행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반면 오랜 정치경륜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리더십이 발휘될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민주당의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도 총선을 앞두고 민심을 뒤흔들 대형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사건의 핵심 피의자인 무소속 윤관석 의원이 최근 구속된 가운데 검찰의 칼끝이 조만간 광주·전남 일부 의원 쪽을 향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검찰은 윤 의원의 영장심사에서 수수 의원들의 실명을 특정해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조선일보는 수수 의원 중 호남권 의원들도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현역의원 물갈이론’도 총선 때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현역 교체 응답이 절반을 넘는데다 대폭 물갈이를 해야 한다는 시중 여론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광주·전남지역 역대 총선 현역 물갈이 폭은 16대 61%, 17대 66%, 18대 52%, 19대 35%, 20대 47%, 21대 83% 등이다. 야권연대로 치러진 19대와 현역 중진들이 대거 국민의당 바람을 타고 살아남은 20대 총선을 제외하면 절반 이상이 새 인물로 바뀐 셈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대대적인 ‘공천 물갈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원외 인사 모임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최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현역 중 적어도 50%는 물갈이돼야 하며 3선 이상 다선은 4분의 3 이상이 물갈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최근 굵직한 이슈가 잇따라 터지면서 광주·전남이 유난히 뒤숭숭한 모습”이라며 “내년 총선에 나서는 예비후보 측은 그 불똥이 튈 수 있다면서 진행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안세훈 기자 ash@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