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광주시 “이달중 발간하자”
전남도 신중론 “조금 더 논의해야”
별책부록에 이견 담는 방안 제시도
“더이상 못미뤄”…논란은 해소 안돼

식민사관 논란으로 발간이 잠정 중단된 ‘전라도천년사’가 이르면 이달중 발간될 전망이다.
19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최근 시·도는 전라도천년사 발간을 주관해온 전북도와 실무회의를 열고 전라도천년사 발간 여부를 이달중 결정키로 했다. 다만, 광주시와 전북도가 “더이상 발간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전남도는 다소 신중론을 보여 막바지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먼저 광주시와 전북도는 식민사관 의혹 등을 제기해온 시민단체의 의견을 반영해 기존 전라도천년사 34권 외에 1권의 별책을 만들어 이들의 의견을 담는 방안을 제시했다. 광주시와 전북도는 전라도천년사 제작에 24억 원 상당의 예산이 투입된 만큼 추가 예산을 들여 시민단체 등의 의견을 수정해 재발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별책과 함께 이달중 발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전남도 역시 수정 재발간에는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아직까지 시민단체가 전라도천년사 폐기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어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시민단체 의견을 별책 형태로 함께 배포하는 것에 대해 어느정도 공감대가 형성됐다”면서도 “하지만 더 협의가 필요해 부지사급 관련 회의 개최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편찬위원회는 관련 논란이 해소될 수 없는 문제인 만큼 계획대로 이달 말께 편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편찬위는 식민사관 논란을 제기해온 시민단체 측이 광주와 전남, 전북지역 방송사가 주관하는 토론회를 모두 거절하는 등 논의의 장에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의견수렴은 불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측은 지난 7월 27일 열린 본보 주최 토론회를 끝으로 공개토론회를 열지 못했다.
전라도천년사 편찬위 한 관계자는 “방송사에 모든 권한을 위임하고 공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했지만, 시민단체 측이 토론회 전부터 편찬위원들을 식민사학자로 규정하는 등 줄곧 토론회를 거부해 왔다”며 “문제 해결의 의지가 없는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역 역사학계와 관련 단체들이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문제 대응에 힘을 합쳐도 모자랄판에 지극히 학계에서 수용할 수 없는 주장만 하니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은창 기자 lec@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