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자치경찰위 치안정책 설문조사 진행
자치경찰 정책·교통 안전 등 23개 분야

 

전남도청 전경./전남도 제공

전남도자치경찰위원회는 30일 도민이 필요로 하는 자치경찰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한 ‘2023년 자치경찰 치안정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자치경찰에 대한 도민의 인지도, 정책선호도 등을 묻는 내용으로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11월10일까지 40일간 만 18세 이상 도민 1천2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2.83%p다.

질문은 ▲자치경찰 인식 ▲자치경찰 정책 참여 경험 및 만족도 ▲생활안전 ▲사회적 약자 보호 ▲교통안전 5개 분야 23개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자치경찰제도를 안다’고 응답한 도민은 40.6%로 전년(36.5%)보다 4.1% 증가했다. 언론매체(56.9%), 가족 및 지인(16.5%), 온라인(9%) 순으로 알게 됐다고 응답했다.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자치경찰 치안 정책과 중점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에서 각각 34.6%과 31.1%로 ‘CCTV 설치’ 응답이 가장 높았다. 범죄예방 및 생활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으로 풀이된다.

생활안전 분야에서 도민이 체감하는 현재 거주지역의 안전도 조사에는 응답자의 69.8%가 안전하다고 답했다.

범죄예방의 효과적인 치안 정책은 범죄 예방 시설 설치(41.4%), 어르신 대상 범죄 예방 순찰(30%), 맞춤형 치안 서비스 제공(20.3%) 순으로 답했다.

범죄예방 활동에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는 경찰관 순찰(28.6%)과 함께 첨단 범죄 예방 시설(28.6%)도 중요하다고 조사됐다.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해 잘 시행된 분야는 순찰 등 치안 활동 강화(25.5%), CCTV·안심 비상벨 등 범죄 예방 인프라(25.1%) 순으로 확인됐다.

어르신의 안전을 위해 가장 잘 시행된 분야는 치매 노인 실종 예방(33.5%)으로 위원회에서 어르신 범죄피해 예방 종합 안전대책을 내실화해 지문 사전등록, 배회감지기 보급 등을 추진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교통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요소는 음주운전(50.9%), 과속·신호 위반(16.3%), 보행자 무단횡단(7.5%)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중점 추진해야 할 분야론 속도위반 단속(25.7%)을 우선으로 꼽혔다.

조만형 전남자치경찰위원장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민 의견을 정책에 촘촘하게 반영하고 주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준혁 기자 yj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