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신 유가족 대표 6일 국회 특위 참석
"사고 진실 밝혀 떠난 이들 억울함 풀어야"

 

박한신(왼쪽) 유가족협의회 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2.29여객기참사진상규명과피해자및유가족의피해구제를위한특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박한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별위원회에 출석해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박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여전히 가족의 빈자리가 너무 커서 상실감과 아픔을 감출 수 없지만 사고 진실을 빠르고 객관적으로 밝혀 떠난 이들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것이 남은 가족의 몫"이라며 "12·29제주항공 참사 특별법 제정을 간절하고 강력하게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그는 "사고의 진상규명이 철저히 이루어도록 조사의 형식적·실질적인 면을 모두 챙겨주길 바란다. 진상규명은 무엇보다 피해자 입장에서 의혹이 없는 게 원칙"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피해자를 대변할 수 있는 조사위를 구성하고, 조사에 참여해 일정 단계에 이른 조사 결과는 반드시 공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참사 원인 제공자들이 응분의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간곡히 부탁한다"며 "항공사나 제조사, 정부관련 책임자들은 조사 결과에 따라 경중에 차이가 있을 뿐 참사 원인 제공자인 것은 변함없다. 책임을 따지는 과정과 결과를 유족들이 가장 먼저 알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유가족의 생활과 정신적 안정을 살펴봐달라. 이 참사는 가족 단위 희생자가 많아 생계가 막막한 유가족이 적지 않다"며 "유가족을 비난하고 조롱하며 재미삼아 돌을 던지는 이들도 수없이 접하게 될 것이다. 희생자와 유가족을 명예훼손 하거나 모욕하는 어떠한 비인도적 시도도 용납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참사를 계기로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반복되지 않게 대민 항공 안전체계를 전반적으로 점검해달라. 관제시스템·공항 설계·운항 안전시스템·정기적 항공기 점검 등"이라며 "항공참사를 조사할 전문 인력도 양성하고 늘려야 한다. 최근 잇단 항공사고에 조사 인력이 동시에 투입되면서 참사 조사 소홀이 우려된다"고도 당부했다.

박 대표는 끝으로 "우리 유가족은(참사 후) 차분하고 질서 있게 행동했고, 현실에 당당히 맞서왔다. 그렇다고 덜 슬프거나, 덜 힘든 것이 아니다"라며 "부디 우리의 부모와 형제가 희생자가 될 수 있고, 유가족이 될 수 있다는 연대 의식으로 변함없이 버팀목이 돼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이현행 기자 lhh@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