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부터 광주독립영화관서
‘2025 베니스 인 광주’ 개최
베르밀리오·19 등 10편 상영

세계 영화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다채로운 이탈리아 영화들이 광주를 찾는다.
광주영화영상인연대는 24일부터 3월 2일까지 광주독립영화관에서 ‘2025 베니스 인 광주’를 개최한다.
‘2025 베니스 인 광주’는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베니스 국제영화제의 화제작 10편을 소개하는 자리로, 그동안 서울아트시네마에서만 진행됐으나 올해부터는 광주에서도 함께 선보이게 됐다.
이번 행사는 광주와 이탈리아의 영화 교류를 넘어 베니스비엔날레와 베니스영화제로 국제 문화도시로 자리잡은 베니스의 사례를 기반으로 광주의 문화도시 브랜드 달성을 위해 영화 문화의 중요성을 환기하고자 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에 베니스비엔날레재단, 주한이탈리아문화원, (사)광주영화영상인연대가 공동주최하고, 주한이탈리아대사관,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서울아트시네마, 광주광역시,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후원한다.
‘2025 베니스 인 광주’에서는 2024 베니스국제영화제의 경쟁부문에 오른 4편의 영화, 비경쟁 부문 3편, 베니스 클래식(고전) 부문 3편 등 총 10편의 영화를 상영한다.
주요 상영작으로는 ▲전장(24일 오후 7시) ▲베르밀리오(25일 오후 6시30분) ▲시실리인의 편지(26일 오후 6시30분) ▲디바 푸투라(27일 오후 6시30분) ▲19(28일 오후 7시) ▲밤(3월 1일 오후 3시) ▲아메리칸 백야드(3월 1일 오후 5시30분) ▲혹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파트2(3월 1일 오후 7시40분) ▲귀부인과 승무원(3월 2일 오후 3시) ▲에체 봄보(3월 2일 오후 5시30분)다.

행사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은 지아니 아멜리오 감독의 ‘전장’이다.
영화는 베니스영화제 황금필름상 의상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이탈리아의 한 군병원을 배경으로 한다.
‘전장’은 성향이 다른 두 군의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잔혹한 전쟁터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 자해하는 환자들과 도시에 새로운 감염병이 돌기 시작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는다.
이어 마우레 델페로 감독의 ‘베르밀리오’가 상영된다.
영화는 2차 세계대전 막바지, 이탈리아의 외딴 마을 베르밀리오에 달영병 피에트로가 찾아오면서 시작된다. 피에트로는 엄격한 마을 교사의 딸 루치아와 사랑에 빠지게 되고, 그들의 사랑은 고요한 마을의 평온을 깨뜨리기 시작한다.
영화는 탈영한 군인과 사랑에 빠진 엄격한 집안의 첫째 딸, 그들을 바라보는 가족의 이야기를 섬세하고 수려한 연출로 담아내면서 2024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은사자상과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영화 ‘시실리인의 편지’는 2000년대 초 시칠리아를 배경으로, 마피아들의 실제 사건을 작품화 했다.
작품은 고위급 마피아가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작은 종이인 ‘피치니(pizzini)’를 주 소재로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았다.
영화는 2024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황금필름상 소품상을 수상했다.
‘디바 푸투라’는 1980년대 이탈리아에서 성적 자유를 외치며 문화 혁명을 일으켰던 포르노 영화 스튜디오 ‘디바 푸투라’의 흥망성쇠를 담은 작품이다.
창업자 리카르도와 포르노 영화의 화려한 전성기를 이끌었던 포르노스타 일로나, 모아나, 에바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지오바니 토르토리치 감독의 ‘19’는 길을 잃고 방황하던 19세 소년 레오나르도가 다양한 고전을 탐독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다.

영화 ‘귀부인과 승무원’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면서 관계가 역적된 귀부인과 승무원의 이야기를 담은 1974년 작품이다.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밤’은 1961년 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권태기를 겪는 부부가 죽음을 앞둔 친구의 병문안을 가며 느낀 감정을 통해 현대인의 소외를 고찰한다.
이상훈 광주영화영상인연대 이사장은 "이번 행사는 국가 간 경계를 넘어 해외 도시와 광주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광주 청년과 영화인들이 국제적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문화도시로 나아가는 미래 광주의 중요한 역량을 키워나가기 위한 다채로운 행사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윤 기자 star@namdo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