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전남도의회 하반기 도정질문서
정길수 의원 "여론조사, 기관마다 달라"
김 지사 "3개 지자체 공동 여론조사" 제안
"6자 TF 통해 머리를 맞대고 풀어보자" 호소

광주 민·군공항 이전 문제를 놓고 전라남도의회 도정질문에서 김영록 전남지사와 무안 지역구 도의원이 20분 가까이 설전을 벌였다. 18일 열린 제393회 전남도의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는 무안군을 지역구로 둔 정길수 의원이 광주 군 공항 이전의 문제점을 비롯, 공항 이전 관련 국가 주도 체계에서 전남도의 역할에 대해 질의했다.
정 의원은 "2018년에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이 3자 협약을 하고도 이후 2021년 이용섭 시장이 협약을 파기했다"며 "광주시와 전남도에게 2번이나 약속을 파기당한 무안군민의 입장을 아느냐"고 협약을 파기한 이유를 추궁했다.
답변자로 나선 김 지사는 "당시 광주시가 함평으로 공항을 이전하겠다는 상황에서 여러 상황을 고려했으나, 함평 이전은 (저도) 고려할 수 없었다"며 "함평 이전은 전남도, 중앙부처와 협의도 없이 들고 나온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군 공항 문제의 혼선을 야기하고 자칫 방향성을 잃고 좌초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시도민들의 의견을 듣고 2023년 5월에 대도민 호소문을 발표했다"며 "민간·군 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동시 이전하게 하는 게 시도민이 원하는 답이고 여론이었다"고 했다.
언쟁은 김 지사가 해당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여론조사 내용을 언급하면서부터였다. 김 지사는 "호소문 발표 이후에 여러 가지 홍보했지만 당초 30%에 머무르던 무안공항 동시 이전 반대 여론이 나중에 48%까지 상승했다"며 "어떻게 보면 정정당당하지 않은 홍보 방법에 의해서 정보가 왜곡된 면이 없지 않아 있었는데, 그럼에도 48%까지 여론 지지도가 나오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곧바로 정 의원은 "찬성률이 올라갔다고 이야기했는데 여론조사는 기관마다 다르다"며 "신빙성 있게 하려면 앞으로 전남도, 광주시, 무안군이 서로 참여해서 객관적인 여론을 조사를 해야 믿을 수 있다"고 여론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김 지사는 3개 지자체가 공동 여론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에도 광주시가 제시하는 기부대양여 방식 및 1조 원 규모의 지원 약속을 포함한 신뢰 회복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정 의원의 주장과 무안군의 6자 TF 참여가 우선이라는 김 지사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정 의원은 "협약서가 아무리 법적 효력이 없더라도 그 누구보다 단체장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본다"며 "그렇지만 약속을 해도 믿을 수가 없다. 그게 문제가 된다.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는 게 도지사님의 책임 있는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물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신뢰가 무너진 부분은 어느 한쪽만의 책임이라기 보다 광주, 전남, 무안의 다 같은 책임이다"면서 "다만, 믿을 수 없다고 해서 믿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대통령께서 직접 챙기면서 6자 TF를 만든 거 아니냐"고 맞받았다. 그러면서 "협약이 성립돼서 합의했다면 1조 원 지원 약속을 지키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있다. 그런데 사람 사이에 믿을 수 없다는 이야기만 할 게 아니라 그것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장치를 (마련)하면 되는 것 아니겠냐"고 답했다.
김 지사는 마무리 발언으로 "제가 무조건 옳다고 하지 않겠다. 서로가 마음을 터놓고 문제가 해결되고 무안군민과 전남도민, 광주시민에게 희망을 주는 자리게 돼야 하는데 말싸움을 비슷하게 돼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김 지사는 "다시 한번 무안군과 군민에게 호소한다. 모든 국민과 시도민이 보고 있다"며 "6자 TF를 통해 성실하게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풀어가자"고 요청했다.
/박정석 기자 pjs@namdonews.com
